숨만 내쉬어도 폐암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검사법이 개발됐다. 상용화되면 발견이 어려운 폐암의 조기 진단율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전상훈(사진) 교수, 장지은 박사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함께 ‘호기가스 폐암 진단 검사법’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호기가스는 내쉬는 호흡인 날숨을 말한다. 이 검사법은 폐 속의 암세포가 만들어내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센서가 분석해 알려준다.
연구팀은 폐암 환자 37명과 정상인 48명에게서 채취한 날숨을 ETRI가 개발한 전자 코(Electronic nose)에 내장된 센서로 데이터화해 분석했다. 그 결과 수술 전 폐암 환자의 날숨은 약 75%의 정확도로 건강한 성인의 날숨과 구별됐다. 수술 받은 후에는 점차 정상인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연구팀은 “수술로 암 조직이 제거되면 암세포가 발생시키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정상인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암세포가 만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날숨에 얼마나 포함됐는지를 확인하면 폐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센서 앤드 액추에이트’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날숨만으로 폐암 찾아 낸다… ‘전자코’ 이용 새 검진법 개발
입력 2017-09-2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