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국감 선점’ 기싸움… 盧·MB정부 때리기 가열

입력 2017-09-25 05:00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동희 한국사진기자협회장,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왼쪽부터)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운동장에서 열린 한국사진기자협회 체육대회에서 건배하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같은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오른쪽 사진). 최현규 기자

문재인정부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국회 내 진보·보수 진영이 각각 전임정부를 향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적폐 청산’을 둘러싼 양측 신경전이 격화되면서 국감 증인 채택 단계부터 양보 없는 격돌도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은 24일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의 ‘노무현 전 대통령 부부싸움 후 자살’ 발언에 대해 십자포화를 쏟아냈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정 의원이 거세진 비판여론에 ‘유감 표명’을 했다고 해서 ‘없었던 일’이 될 거라 생각했다면 오산”이라며 “정 의원은 반드시 상응하는 정치적·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 진영도 강력 반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리는 김경수 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에 “(정 의원이) MB정부 국정원의 불법적 대선개입과 민간인 사찰 문제를 물타기하고 싶은 것 같다”며 “허위사실로 고인과 유족을 욕보이셨으면 그에 따른 응분의 법적 책임을 지면 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에는 그 어떤 타협도 없을 것임을 미리 알려드린다”고 경고했다. 노무현재단 관계자는 “유가족 명의로 25일 정 의원을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정 의원은 진화에 나섰다. 그는 페이스북에 “어제(22일) 봉하마을 조호연 비서관(권양숙 여사 비서실장)과의 통화에서 돌아가신 노 전 대통령이나 가족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위한 것이 아니라고 유감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노 전 대통령의 한을 풀기 위해 또 다른 형태의 정치보복에 나서야겠느냐. 한쪽이 한쪽을 무릎 꿇리는 적폐 청산은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증폭시키는 악순환을 반복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여당 등 진보진영은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막을 내린 박근혜정부는 물론 이명박정부까지 정조준하고 있다. 한 민주당 지도부 의원은 “올해 국감은 정권 출범 5개월 만에 치러지다보니 보수야당이 현 정권을 공략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지난 9년간 나라를 망친 보수정권의 실정을 낱낱이 파헤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국회 운영위와 정보위 등 국감에서 이병기 전 비서실장 등 박근혜정부 청와대 관계자는 물론 이명박 전 대통령도 증인으로 채택하려 하고 있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도 이 전 대통령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국민의당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발포 명령과 관련해 전두환 전 대통령을 증인 채택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국당은 노 전 대통령 관련 사건 재수사를 공식 언급하며 맞불을 놨다. 강효상 한국당 대변인은 “여권은 정치보복에만 혈안이 될 것이 아니라 노 전 대통령 뇌물사건에 대한 재수사에 즉각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아가 현 정부 핵심인사들을 타깃 삼아 반격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 한국당 등 야당은 운영위·여가위 등 복수의 상임위에서 조국 민정수석,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탁현민 행정관 등 청와대 인사에 대한 전방위 증인 채택을 추진 중이다.

최승욱 이종선 기자 applesu@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