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23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는 막말을 쏟아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직접 성명을 통해 ‘사상 최고의 초강경대응 조치’를 언급한 후 예견됐지만 리 외무상의 연설은 국제사회가 실망하기에 충분하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투전꾼’ ‘정신이상자’ 등으로 지칭하며 ‘가차 없는 선제행동’ 가능성을 거론했다. 참수나 선제공격 기미가 보인다면이라는 전제를 달았지만 한반도를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으로 몰아가는 위험한 발언이다. 그는 또 “핵 보유는 자위적 조치”라고 강변했다. 어불성설이다. 국제사회는 이미 북한의 미사일과 핵 무장화에 우려와 비난의 목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북한과 미국의 ‘강 대 강’ 대치가 상승작용하면서 한반도에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말 폭탄’이 오판이나 우발적 사건으로 인해 군사적 충돌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 정치권이 리 외무상의 기조연설을 ‘명분 없는 궤변’ ‘억지와 생트집에 불과한 적반하장의 극치’라고 한목소리로 비판한 것은 그런 점에서 당연하다. 미국은 23일 ‘죽음의 백조’라 불리는 B-1B 전략폭격기를 북한 측 동해 상 국제공역에 출격시켰다. 한국전쟁 이후 미국 전투기나 폭격기의 최북단 비행이다. 북한이 계속 도발할 경우 군사적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고 강력히 경고한 것이다. 북한은 핵 무장화가 자신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는 망상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야 한다.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국제사회의 제재 확대와 국제적 고립만 심화될 뿐이다.
정부는 북·미 간 초강경 대치가 물리적 충돌로 비화되지 않도록 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반도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하고 상황이 극단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안정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안토니우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의 주문은 시기적으로 적절하다. 정부는 북핵 불용과 평화적 해결이란 입장을 견지하되 미국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북한을 최대한 압박해야 한다. 동시에 한·미는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중국이 대북 제재에 적극 동참,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
[사설] 북한 유엔총회 막말… 제재 확대와 고립만 부를 뿐
입력 2017-09-24 1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