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 구미시의 해묵은 난제인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10년 가까이 접점을 찾지 못하고 갈등만 반복한 사안이었지만 최근 이낙연 국무총리가 중재 의사를 밝힌 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 13일 이 총리가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좋은 시기에 구미와 대구의 지도자들과 함께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총리가 직접 나서 중재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두 도시의 취수원을 둘러싼 갈등은 2009년부터 시작됐다. 대구시는 구미공단 아래쪽에 위치한 매곡, 문산 취수장 등에서 상수도를 공급받았는데 1991년 낙동강 페놀 사태 등 잦은 오염사고로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자 식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을 원했다. 하지만 현재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지류에 있는 해평광역취수장을 식수원으로 쓰고 있는 구미시는 가뭄 시 수자원 부족과 수질관리 어려움 등을 이유로 취수원 이전 및 공동 사용을 반대하고 있다.
이후 대구시와 구미시는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2015년 3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9차례나 회의를 열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지난달 대구에서 더불어민주당 대구·경북 특별위원회 주재로 열린 대구 취수원 이전 토론회도 뚜렷한 결론 없이 끝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총리가 직접 나서겠다고 하자 대구시는 환영하며 정부의 중재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는 그동안 취수원 이전 문제에 정부가 나서달라고 요구했었다”며 “총리가 중재 뜻을 밝힌 것에 대해 기대를 걸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경북도와 구미시의 반응은 조금 다르다. 구미시는 기존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경북도 역시 주민 반대 사안에 대해 나서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다. 특히 구미는 지역 내에서도 의견이 갈려 있다. 구미경실련 등의 시민단체는 정부가 자율 합의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시하되 해법은 지자체들이 자율적으로 논의해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총리와 권영진 대구시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남유진 구미시장 등이 함께 하는 자리에 대해서도 대구처럼 적극적이진 않은 모양새다. 남 시장은 “최근 총리실에서 (서울에서) 모이기 괜찮은 날을 물어와 김관용 지사가 정하는 대로 따르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경북도 관계자는 “총리 요청이 있어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대구 취수원, 낙동강 상류 이전 물꼬 틀까?
입력 2017-09-25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