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신과 현실 사이… 고민 깊은 文 대통령

입력 2017-09-22 18:02 수정 2017-09-22 21:23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평화와 제재를 넘나들었다. 문 대통령은 제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평화는 역사적 책무”라며 한반도 평화를 강조했다. 하지만 연설 20여분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북한에 대한 최고 강도의 압박과 제재가 필요하다”고 합의했다. 상반된 듯 보이는 강온 행보는 미국을 필두로 한 국제사회와 북한의 강대강 대치 구도 속에 샌드위치 신세가 된 한국과 문 대통령의 처지를 반영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3박5일간의 미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하는 대통령 전용기 내 기자간담회에서 이러한 고충을 토로했다. 문 대통령은 “이런 식으로 북한이 도발하고, 제재해도 도발하고, 더 강도 높게 제재하는 식으로 계속 이어져서는 안 된다. 하루 빨리 여기에서 벗어나는 게 큰 과제”라고 말했다. ‘제재→도발→더 강한 제재→더 강한 도발’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대한 우려였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지금처럼 잔뜩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는 섣불리 다른 해법을 모색하기도 어렵다”며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해법도 긴장이 조금 완화되면서 한숨 돌려야 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은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압박하는 것 외에는 달리 다른 방법이 없을 것 같다”며 “이 고비를 넘어서고 북한이 도발을 중단한다면 그때 좀 더 여러 가지 근본적인 해법이 모색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자신의 구상을 밝혔다. 근본적인 해법과 관련해선 “양자회담, 또는 3자·4자·6자 회담 등 굳이 어떤 방식이 옳다고 말할 문제는 아니며 어떤 형태의 대화든 모색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글=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