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4일(현지시간) 치러지는 독일 총선은 앙겔라 메르켈(사진) 총리의 4연임이 유력한 상황에서 연정 구성에 더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정 구성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2차대전 이후 처음으로 극우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하 대안당)이 제1야당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1일 여론조사업체 GMS에 따르면 메르켈의 중도우파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은 지지율 37%를 기록했다. 그리고 마르틴 슐츠 전 유럽의회 의장의 중도좌파 사회민주당은 22%를 얻는 데 그쳤다. 이어 대안당 10%, 중도보수 자유민주당 10%, 좌파당 9%, 또 다른 좌파 녹색당 8%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메르켈이 자신을 발탁했던 헬무트 콜(1982∼1998) 전 총리에 이어 16년 최장기 집권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메르켈이 승리해도 내각 구성을 위한 과반 의석을 확보해야 하는 만큼 연정 파트너를 찾아야 한다. 지금은 기민-기사 연합이 사민당과 대연정을 형성해 국정을 운영하고 있지만 총선을 치르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태다. 이에 따라 기민-기사 연합이 사민당 대신 자민당, 녹색당과 손잡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총선에선 2013년 창당한 대안당의 의회 입성이 확실시된다. 현지 언론은 총선에서 대안당이 전체 의석 703석 중 최대 89석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독일에서 극우당이 원내에 진입하는 것은 2차대전 당시 나치당 이후 처음이다.
난민과 이슬람에 반대하는 우경 노선으로 인기를 얻어온 대안당은 이번에 제3당 지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또 기민-기사 연합이 선거 기간의 갈등을 접고 사민당과 다시 연정을 구성한다면 제1야당이 될 수도 있다. 독일 의회 관례에 따라 제1야당은 부의장직과 예산위원장직을 요구할 권리를 갖게 된다. 의회 요직을 극우당이 차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대안당 후보들의 잇따른 인종차별 발언이 불거지면서 검찰이 수사에 나선 데다 일부 공약은 위헌 시비까지 휘말려 끝까지 선전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
장지영 기자
獨 총선 메르켈 4연임 유력… 대안당, 제1야당 가능성도
입력 2017-09-22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