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차기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국회 통과를 계기로 청와대와 여당이 협치 가능성을 다시 모색하고 있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은 22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를 만나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의 회동 및 여·야·정 상설협의체 방안을 논의했다. 귀국하는 대로 여야 대표들을 만나겠다는 문 대통령의 강한 의지에 따른 것이다. 청와대는 이번 기회에 야당의 협조 없는 국정수행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가슴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문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야당을 국정운영의 동반자로 부르며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새 정부 출범 직후 협치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장관 인선과 탈원전·최저임금 인상 등정책추진 과정에서 협치는 실종됐다. 청와대는 높은 지지율을 믿고 ‘마이웨이’를 외쳤고, 야당은 선거패배로 흩어진 당을 정비하면서 선명성 부각에 주력했다. 국회 운영의 키를 쥔 여당은 정치력을 발휘하기는커녕 돌출 발언으로 분위기를 흐렸다. 그러고는 서로 상대방만 탓했다.
정기국회를 앞둔 청와대와 여당에 협치는 언젠가 달성할 이상이 아니라 지금 당장 실현해야 하는 현실이다. 정기국회에서는 세제개편, 8·2 부동산 대책, 검찰개혁,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을 위한 각종 법안과 내년도 예산안이 처리돼야 한다. 헌법재판소장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인사청문회도 다시 열어야 한다. 김 차기 대법원장 임명을 위해 문 대통령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던 것처럼 야당을 포용하고 설득하며 협치의 길로 나서지 않는다면 안팎의 위기가 겹친 대한민국호는 표류하고 말 것이다.
야당도 협조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문 대통령의 회동 제의를 거절한 점은 아쉽다. 그렇다고 협치를 위한 노력이 중단돼서는 안 된다. 아집을 버리고 끊임없이 야당과 만나며 국정을 함께 수행할 길을 찾아내야 한다.
[사설] 청와대, 진정성 갖고 협치 실천해야
입력 2017-09-22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