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추선희·이종명 소환… ‘MB 국정원’ 수사 박차

입력 2017-09-21 18:33 수정 2017-09-21 21:22
이종명 전 국가정보원 3차장이 21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며 기자들로부터 질문을 받고 있다. 최현규 기자

이명박(MB)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정치 개입과 댓글 공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추선희 전 어버이연합 사무총장과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진재선)와 공공형사수사부(부장검사 김성훈)는 21일 추씨를 불러 국정원 심리전단의 자금 지원을 받아 박원순 서울시장을 규탄하는 ‘관제 데모’를 벌였는지 집중 추궁했다. 특히 국정원과의 연락 방식, 지시 및 실행 여부, 금품 수수 방식과 금품의 용처 등을 구체적으로 캐물었다. 추씨는 돈을 받은 적은 있지만 시위는 자발적이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태극기를 펼쳐보였던 서석구 변호사가 추씨의 변호를 맡았다. 추씨는 당초 20일 오후 4시 검찰에 출석할 예정이었으나 개인 사정을 이유로 출석을 하루 연기했다. 검찰은 조만간 추씨 등을 고소·고발한 박 시장 본인이나 법률대리인을 불러 조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MB 국정원의 민간인 댓글부대 ‘사이버 외곽팀’ 활동을 지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이 전 차장도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지시를 받아 이를 직속 부하인 민병주 심리전단장 또는 심리전단 소속 팀장들에게 전달했는지를 추궁했다. 이 전 차장은 2013년 원 전 원장, 민 전 단장과 함께 기소돼 지난달 30일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검찰은 국정원이 외곽팀장들에게 지급한 금전 내역이 기록된 영수증을 추가로 확보해 분석에 착수했다. 한국 홍보 전문가인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와 관련된 영수증도 포함됐다. 검찰은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자금 흐름을 추적할 계획이다.

검찰은 정치 개입, 댓글 공작,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등 MB 국정원에 제기된 의혹의 총책임자로 지목된 원 전 원장을 이르면 다음 주쯤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글=신훈 기자 zorba@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