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이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먼저 탄력정원제를 도입했다. 탄력정원제가 타 공공기관으로 확대될 경우 문재인정부의 국정과제인 일자리 창출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동서발전은 지난달 노사가 탄력정원제 도입에 최종 합의했다고 21일 밝혔다. 탄력정원제란 공공기관이 총 인건비 내에서 수당이나 연가보상비 등을 절감해 자율적으로 인력을 충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그동안 정부는 공공기관이 무분별하게 인력을 늘리는 것을 막기 위해 인건비 상승 여부에 관계없이 정원을 1명이라도 늘리려면 기획재정부와 사전협의해 승인 받도록 했다.
그러나 지난 7월 기재부는 김용진 2차관 주재로 열린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공공기관의 탄력정원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김 차관은 문재인정부 출범과 함께 기재부 2차관으로 깜짝 발탁되기 직전 동서발전 사장이었다. 이미 동서발전은 2014년부터 탄력정원제와 유사한 일자리 나누기를 시행해 왔고 지난 7월 말 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탄력정원제 도입의 기초모델로 소개되기도 했다.
동서발전 노사는 최근 인건비의 5% 수준인 초과근로수당과 연차수당을 줄여 오는 12월 정규직 신입사원 72명을 뽑기로 했다. 최근 5년간 동서발전이 연평균 약 134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한 만큼 이 인원을 합하면 신규채용 인원은 200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동서발전의 탄력정원제 도입은 다른 공공기관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한국전력 노사 등이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공공기관 중 첫 탄력정원제… 동서발전, 일자리 창출 나서
입력 2017-09-21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