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문성근씨와 김여진씨의 나체 합성 사진을 만들어 유포한 국가정보원 2급 간부 등 2명에게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국정원 댓글·블랙리스트 공작 수사에서 현직 국정원 직원의 구속영장은 처음이다. 검찰은 이명박(MB)정부 시절 국정원이 작성·실행한 ‘박원순 제압문건’에 대해서도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20일 MB정부 시기 국정원 심리전단 팀장이던 유모씨와 팀원 서모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들은 2급, 5급 간부로 승진해 현재 국정원 다른 부서에서 근무 중이다.
유씨 등은 야당 통합정치 운동을 벌이던 문씨와 좌편향 여배우로 분류해 놨던 김씨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기 위해 2011년 5월 두 사람이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처럼 사진을 조작해 퍼뜨린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법상 명예훼손, 국정원법상 정치관여 혐의가 적용됐다.
검찰은 국가 정보기관이 저지른 심각한 범죄행위로 판단하고 두 사람 신원을 특정한 뒤 국정원 협조를 받아 최근 비공개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추선희 전 어버이연합 사무총장 주거지도 압수수색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이 전 대통령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 11명을 고소·고발한 지 하루 만이다. 이날 사건을 공안2부(부장검사 진재선)에 배당하고 곧장 증거 확보에 나선 것이다. 추씨도 불러 조사하려 했으나 불응했다.
어버이연합은 박 시장을 비방하는 ‘관제 데모’를 개최하는 등 문건 내용의 온·오프라인 실행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앞서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는 국정원이 ‘서울시장의 좌편향 시정운영 실태 및 대응 방안’ ‘좌파의 등록금 주장 허구성 전파’ 등 문건을 작성한 뒤 이를 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와 연계해 실행에 옮겼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8일 검찰 조사를 받은 문씨 역시 “내가 일하던 ‘국민의 명령’ 사무실에 1인 시위 등 집단행동이 많았는데 (국정원에서) 추씨에게 돈이 나간 문건이 확인됐다. 20차례 800만원을 지원한다고 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4시 출석 통보를 받았던 추씨는 예정된 시간을 미루다가 끝내 불출석 의사를 전달했다. 검찰은 강제구인도 검토 중이다. 그를 상대로 박 시장 등에 대한 비판 활동을 벌인 배경, 국정원 지시 및 지원 여부 등을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21일 오후 2시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기로 했다. 이 전 차장은 전날 구속된 민병주 전 심리전단장의 윗선이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檢, ‘문성근-김여진 합성사진’ 국정원 간부 2명 영장
입력 2017-09-20 18:19 수정 2017-09-20 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