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부분 지역에 설치된 KT의 이동통신 기지국과 통신주가 미세먼지 측정에 활용된다. KT의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삶의 질 개선에 쓰이는 것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KT는 20일 “미세먼지 위험 해소를 위해 에어맵 코리아(Air Map Korea)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면서 “전국 500만곳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가운데 가장 효과적으로 공기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장소를 연말까지 선정해 정부에 공기 질 측정기 설치 장소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T는 전국적으로 통신주 450만개, 기지국 33만개, 공중전화부스 6만여곳을 보유하고 있다. 이곳에 IoT 기반의 공기 질 측정기를 설치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면 미세먼지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게 KT의 구상이다. KT는 “우리가 보유한 통신주 등은 국민이 생활하는 현장 가까이에 위치해 미세먼지 측정에 최적의 입지”라며 “기지국과 공중전화부스는 유동인구가 많을수록 촘촘히 배치된다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KT는 공기 질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살수청소차 운행, 미세먼지 확산 예측 알림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봤다. 예컨대 특정 지역의 미세먼지 데이터와 바람의 방향, 속도 등 기상정보를 연계하면 미세먼지의 이동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KT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가 미세먼지 예상 이동경로를 시민에게 전달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KT는 우선 서울과 6대 광역시에 공기 질 측정기 1500개를 설치하고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는 내년 1분기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글=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
KT, IoT로 미세먼지 측정한다
입력 2017-09-20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