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차 유해발굴 이달 말 추진

입력 2017-09-19 18:42
5·18민주화운동 당시 희생자들의 주검을 암매장했다는 의혹을 풀기 위한 4차 유해발굴이 이달 말 추진된다. 지난 2009년 3월 3차 암매장 발굴조사 이후 8년 만이다.

5·18기념재단은 “5·18 암매장 추정지역에 대한 발굴작업을 추석 이전에 재개한다”고 19일 밝혔다. 기념재단은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주둔한 3공수여단 부대원이 작성한 암매장 관련 메모를 확보해 당초 연말로 계획한 발굴작업 일정을 앞당겼다고 설명했다.

약도 형식의 메모는 A4용지 1장 분량으로 광주교도소 외곽을 암매장 지역으로 표시하고 당시 상황을 담고 있다. 하지만 37년의 세월이 경과한 데다 약도 상 암매장 표시구역이 광범위해 유력한 발굴지점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 문흥동 광주교도소는 1980년 5월 31일 계엄사령부가 작성한 ‘광주사태’ 관련 문건에 일명 ‘교도소 습격사건'의 현장으로 기록된 곳이다. 당시 총격전 등에서 민간인 28명이 숨졌다고 기록되었으나, 11구의 시신이 발견됐을 뿐 나머지 사망자 17명의 행방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광주교도소는 2015년 문흥동에서 삼각동으로 건물을 신축해 이전했다.

광주시와 기념재단은 1997년 이후 64건의 암매장 제보를 접수해 3차례에 걸쳐 9곳에서 발굴작업을 벌였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광주시는 현재 82명을 5·18 관련 행방불명자로 인정하고 있다. 이 중 6명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망월동 옛 무연고 묘역 등에서 시신을 찾았지만 76명은 여전히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광주=장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