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안전성 논란이 지난달 19일 언론 보도를 통해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 한 달이 지났다. 여성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생활필수품, 그것도 여성성과 관련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는 소식에 소비자들은 불안감을 호소했다. 생리대 안전 문제를 처음 제기한 여성환경연대에 이후 이틀간 3009건의 피해 사례가 접수됐을 정도로 반향이 컸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시중에 유통되는 모든 일회용 생리대(56개사 896품목)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지만 여성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식약처는 벤젠, 스티렌 등 인체 위해도가 비교적 높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성분 10종을 조사해 검출량과 위해평가 결과를 이달 말까지 공개할 계획이다. 나머지 76종의 VOCs에 대해서도 조속한 시일 내에 전수조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그렇다고 생리대 안전에 대한 논란이 사라질지는 의문이다. 당장 여성환경연대 측은 식약처가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일회용 생리대에는 다이옥신, 퓨라, 잔류 농약, 향료 등 VOCs가 아닌 다른 유해물질들이 들어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식약처의 조사는 VOCs, 그것도 당장은 10종의 성분으로 한정됐다는 것이다. 검출된 유해물질과 인체 유해성과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부작용을 호소한 여성들에 대한 역학조사가 필요한데도 식약처는 주저하고 있다. 사태가 불거진 후 독성전문가, 소비자단체 등 민간전문가들로 ‘생리대 안전 검증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위원 18명 가운데 여성이 고작 4명인 것도 문제다. 남성과 여성은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인식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식약처는 보건환경 분야의 대원칙인 사전예방원칙에 입각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사람이나 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다면 인과관계가 확실하지 않더라도 적극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게 옳다. 신속하고도 철저한 조사를 통해 시중에서 유통되는 생리대가 안전한지에 대한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놓는 게 급선무다. 또 차제에 생리대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전성분 표시기준을 강화하는 등 생리대 안전 종합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이달 말 VOCs 성분 10종에 대한 조사결과 발표 때 이런 방안이 담긴 후속 로드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사설] 유해 생리대 파문 한 달, 식약처 뭐하고 있는 건가
입력 2017-09-19 1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