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근 “이명박정부 수준 일베같아… 직접 소환조사해야”

입력 2017-09-18 18:20 수정 2017-09-18 21:15
배우 문성근씨(왼쪽 사진)가 이명박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작성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과 관련해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1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은 국정원의 댓글 여론조작 사건에 개입·지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민병주 전 국정원 심리전단장이 같은 날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영장 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는 모습. 서영희 기자

이명박(MB)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작성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인사 중 첫 번째로 배우 문성근(64)씨가 18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문씨는 7시간가량 조사받고 귀가하면서 “국정원이 대통령 직속기구인 만큼 내부 결재라인을 통해 집행된 공작은 대통령도 알았을 것”이라며 “이명박 전 대통령을 소환조사할 것을 검찰에 강력히 요구했다”고 말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진재선)와 공공형사수사부(부장검사 김성훈)는 참고인 신분으로 문씨를 조사했다. 문씨는 조사에서 국정원 심리전단이 2011년 제작·유포한 나체 합성사진 등 피해 사례와 관련한 질문에 답했다. 국정원이 같은 해 보수단체 어버이연합을 동원해 자신의 사무실 앞에서 관제시위를 벌였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진술했다. 그는 “검찰이 확보한 국정원 문건에 ‘어버이연합을 동원한 시위’ ‘몇 회에 800만원’ 등의 내용이 적혀 있었다”고 설명했다. 문씨는 국정원이 전남 강진군에 있는 대안학교 늦봄문익환학교를 사찰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문씨는 이날 검찰 출석에 앞서 “국정원이 음란물을 제조해 유포했다”며 “이명박정권 수준이 일베(일간베스트)와 같다. 세계만방에 국격을 추락시킨 점에 대해 경악스럽고 개탄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씨는 문화예술인들의 피해 사례를 수집한 뒤 다음 달쯤 공동으로 이 전 대통령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고소하겠다고 밝혔다. 검찰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과 관련해 주요 피해자의 구체적인 피해 사례를 청취 중이며 19일에는 방송인 김미화씨를 조사한다.

글=신훈 기자 zorba@kmib.co.kr, 사진=서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