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北 몰락의 길 깨닫도록’ 강한 압박 합의

입력 2017-09-17 18:31 수정 2017-09-18 00:07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통화를 하고 있다. 미국 측 요청으로 이뤄진 한·미 정상의 통화는 25분 동안 진행됐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5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중거리탄도미사일 '화성 12형' 발사 장면을 망원경으로 지켜보고 있다(가운데). 청와대 제공, 조선중앙TV 캡처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북한의 잇단 핵·미사일 도발을 강력히 규탄했다.

양 정상은 북한이 도발을 지속할수록 더욱 강화된 외교적 고립과 경제적 압박을 받아 몰락의 길로 들어선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더욱 강력하고 실효적인 압박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양 정상은 최근 국제사회가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채택 등 단호한 입장을 밝혔음에도 북한이 또다시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것을 엄중히 규탄하고 양국 간 긴밀한 공조를 강화키로 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지키려면 우리 자체적인 억지·방위능력과 한·미 연합 방위능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한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 문제와 정부의 첨단 무기 보강 작업에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과 협조를 보이는 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동맹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동맹 강화 차원에서 필요한 지원과 협조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양 정상은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를 포함한 대북 제재 안보리 결의들을 더욱 철저히 이행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앞으로 관련 협력과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두 정상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만나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위협에 대응하고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제반 방안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으로 이뤄졌으며 오전 11시부터 25분간 진행됐다. 두 정상 간 통화는 문 대통령 취임 이후 다섯 번째다.

문 대통령은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18일 출국한다. 문 대통령은 21일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한·미·일 정상회담에 참석한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단독 정상회담도 추진 중이다. 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을 위해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접견하는 등 대대적인 홍보전도 펼칠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