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혁명에, 일자리는… 줄어든다? 상관없다?
입력 2017-09-18 05:00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전망은 비관론과 낙관론이 교차한다. 인공지능(AI) 및 로봇 기술 발전으로 육체노동은 물론 지식노동까지 빠르게 대체될 것이란 예측과 함께 새로운 일자리가 소멸 일자리를 상쇄할 것이란 관측이 맞서고 있다.
일자리가 줄 것이란 전망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확산되는 계기가 된 지난해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 발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WEF는 미래고용 보고서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영향으로 716만5000명이 일자리를 잃고 202만1000명이 새 일자리를 찾아 순고용이 514만4000명 정도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무·행정 분야에서 475만9000명이 실직하는 것을 비롯해 제조(161만9000명) 건설(49만7000명) 등에서 일자리를 잃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금융(49만2000명) 경영(41만6000명) 컴퓨터(40만5000명) 등은 일자리가 늘 것으로 예측됐다.
칼 프레이, 마이클 오즈번 옥스퍼드대 교수가 2013년 발표한 ‘고용의 미래’에서도 미국 일자리 47%, 독일 일자리 42%가 20년 이내에 사라질 것으로 전망되는 등 기술 발전은 일자리 감소로 이어진다는 우려가 크다.
하지만 1∼3차 산업혁명에서 단기적으로 일자리가 줄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일자리가 늘어난 것을 내세워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많다.
4차 산업혁명의 선도국 독일은 디지털화를 가속화하는 경우 생산력이 급상승해 일자리가 줄더라도 IT 서비스, 연구·개발 등에서 일자리가 크게 늘어 약 25만개의 일자리가 순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같은 일자리라도 직무 구성에 따라 자동화 영향이 달라 일자리가 급격히 줄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일부 직무를 기술이 대체해도 일자리 전체를 대신할 수 없어 인간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해 5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1개 회원국의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소멸 비율은 평균 9%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은 제조업에서 자동화가 많이 확산돼 있어 일자리 소멸 비율이 5.9%로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자동화로 인해 임금 등 근로조건이 악화될 가능성은 남아 있는 만큼 일자리 질에도 관심을 둬야 한다는 지적이다. 향후 기술 숙련 정도에 따라 일자리 양극화 문제가 심화될 수 있는 만큼 4차 산업혁명에 맞는 기술 융합형 인재 양성에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술 변화에 따른 재교육 필요성이 높아지는 것에 대비해 교육 프로그램도 정비할 필요가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