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대통령 방침 밝혀
대기관리권역 전국 확대
사업장 미세먼지 총량관리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을 매년 봄철에 정기적으로 시행하면서 (노후 석탄발전소) 폐쇄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또한 수도권으로 한정된 대기관리권역 지정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사업장 미세먼지에 대한 총량 관리제 도입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충남 태안 유류 피해극복 기념관에서 열린 서해안 유류 피해극복 10주년 행사에 참석해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길은 에너지를 깨끗하고 안전한 미래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충남의 4기를 포함해 전국의 8기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을 지시했고, 그 기간 충남지역 미세먼지 농도는 지난 2년 평균치보다 15.4% 낮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충남의 하늘이 맑아야 서울의 하늘도 맑다”며 “현재 수도권으로 한정된 대기관리권역 지정을 충남권을 비롯한 전국으로 확대하고, 사업장 미세먼지에 대한 총량 관리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2007년 12월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를 언급하며 “정부는 깨끗한 바다를 지키기 위해 재난에 미리 대비하도록 예보·경보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 8차 전력수급 계획안 발표
기존 전망보다 12.7GW↓
원전 9곳 안지어도 돼
2030년 전력수요 전망치가 2년 전보다 12.7GW(기가와트) 낮아졌다. 설비용량 1.4GW짜리 원전 9개를 짓지 않아도 되는 분량이다. 수요 전망치가 낮아지면 신규 발전설비를 더 지을 필요가 없어져 문재인정부가 추진하는 탈원전·탈석탄·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힘이 실릴 수 있다.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2017∼2031년)을 작성해 정부에 제출하는 민간 자문가 그룹 ‘수요전망 워킹그룹’은 15일 서울 중구 한국전력 서울지역본부에서 2030년 전력수요 전망이 100.5GW라고 밝혔다. 이는 2015년에 만든 7차 전력수급계획의 전망치 113.2GW보다 12.7GW 줄어든 수치다. 기준수요 113.4GW에서 수요관리(DR)량 13.2GW를 차감한 후 전기차 확산으로 인한 수요증가 효과로 약 0.3GW를 추가한 값이다.
이렇게 전력수요가 급격히 떨어진 것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하락한 데다 전기요금 명목가격이 크게 올라 전력수요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지난 7월 워킹그룹이 발표한 8차 전력수급계획 초안에 담긴 전망치 101.9GW보다도 1.4GW 줄어들었다. 이는 지난 9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연평균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47%에서 2.43%로 낮춰 잡은 데 따른 것이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봄철 노후 석탄발전소 멈추고… 전력수요 전망치 더 낮추고
입력 2017-09-1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