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마저 등을 돌렸던 박성진(사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결국 자진사퇴했다. 포항공대 교수인 박 후보자는 지명 이후 뉴라이트 역사관, 창조과학회 활동 등이 논란이 됐다. 부동산 다운계약서 탈세, 주식 무상 증여 등 의혹도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지난 13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부적격 의견이 담긴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
박 후보자의 사퇴는 문재인정부 들어 세 번째 장관 후보자 낙마이고, 차관급까지 포함하면 일곱 번째 고위직 낙마 사례다. 박 후보자는 사퇴문을 통해 “청문회에서 대부분 시간을 이념과 신앙 검증에 들였는데도 전문성 부족을 명분으로 부적격 의견을 채택한 국회 결정을 납득하기 어려웠다”면서도 “다만 국회 결정에 따르겠다고 한 말에 책임지기 위해 자진사퇴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은 박 후보자 사퇴 직후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 역시 국회 판단을 존중하고 수용한다”며 “인사 논란이 길어지면서 국민 여러분이 많은 걱정을 하고 계신 데 대해 진심으로 송구하고 죄송한 마음”이라고 사과했다. 청와대가 임 실장을 통해 인사 문제를 사과한 것은 지난 5월 인사 배제 5대 원칙 위반 논란 이후 두 번째다.
임 실장은 동시에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준안 처리를 호소했다. 그는 “1948년 정부수립 이래 국회의 동의 절차 지연을 이유로 사법부 수장이 공석이 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며 “사법부 수장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24일 이전에 김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를 국회에 호소한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청에서 승격해 지난 7월 26일 출범했지만 이날까지 52일째 장관 자리가 공석이다.
노용택 오주환 기자 nyt@kmib.co.kr
박성진 사퇴 청와대 사과
입력 2017-09-15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