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병원 성희롱 스캔들’ 가해 성형외과 교수 직무정지

입력 2017-09-17 22:52
충남대병원이 성희롱 스캔들에 휩싸였다. 이번 사태는 간호사 3명과 여직원 1명이 지난달 23일 병원 성희롱고충신고상담원에 진정서를 제출하면서 불거졌다. 이들은 성형외과의 ㄱ교수로부터 지속적으로 성희롱적 발언과 불필요한 신체접촉에 시달려왔다고 주장했다.

병원은 지난 1일 ㄱ교수에게 직무정지 명령을 내렸다. 현재 ㄱ교수는 연구실로 출근은 하지만 진료는 하지 않는다. ㄱ교수는 병원 자체 조사에서 부인하는 취지로 진술했다. 직무정지 기간은 사건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다. 13일 병원 특별인사위원회는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에는 충남대에서 징계를 결정·통보하게 된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해결은 간단치 않다. 목격자를 찾기 어렵고, 설사 목격자가 있다하더라도 피해자 편에서 증언을 할 사람은 전무하다. 실제 진상조사를 진행한 병원 법무지원팀 관계자는 “진료실에는 ㄱ교수와 간호사만 들어가기 때문에 목격자가 없다. 참고인들은 구체적인 언급은 꺼렸다. 피해 내용을 정확하게 목격했다는 참고인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도 피해자들은 지난 6월 중순경 과에 문제를 제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성형외과는 외래·수술·회진을 ㄱ교수 대신 다른 사람으로 대체했고, ㄱ교수에게는 서약서를 요구했다. ㄱ교수는 서약서를 통해 본인의 잘못 인정과 재발방지를 약속하고 피해자들에게 사과했다. 서약서 제출 후 ㄱ교수는 다시 업무에 복귀, 피해자들과 대면했다.

그러나 진정서가 제출된 이후에도 부적절한 언행은 이어졌다는 게 병원 측의 주장이다. 병원 조사 담당자는 “6월 이후 예전처럼은 아니어도 대화도중 팔을 잡는 행동 등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최재홍 보건의료노조 충남대병원지부장도 “심각한 문제인 만큼 정확한 조사와 처벌, 피해자 보호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병원 조사 과정에서 외압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충남대병원은 재발방지를 약속했다. 방지책은 ▶사건을 병원 내 구성원에게 전파·공유 ▶노사 공동의 성희롱 근절 캠페인 ▶10월 성희롱 예방교육 집체교육 ▶성희롱 고충 상담원 확대 지정. 현 2명→ 5∼6명 ▶교수 회의시 관련 사례 전파 교육 ▶전 직원 성희롱 예방 근절 결의대회 등이다.

충남대병원이 나름대로 사태 해결 의지가 있음은 유추가 가능하다. 세종충남대병원 건립이라는 병원 최대 사업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송민호 병원장의 입장도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최재홍 지부장은 송 원장이 “원리원칙대로 조사를 할 것이며 축소 및 은폐는 없다”고 밝혔다고 기자와의 통화에서 밝혔다.

ㄱ교수 개인의 일탈과 함께 병원이 지닌 구조적 결함의 탓도 크다. 피해자들이 최초 문제를 제기했을 당시 확실한 조치가 이뤄졌다면, 피해자들의 심적 고통은 다소 줄어들 수 있었다. 지방국립대병원에서 벌어진 이번 성추문 사건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충남대병원은 대전·충남 지역민들에게 실추된 명예를 되찾을 수도,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

김양균 쿠키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