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를 놓고 침묵을 이어가고 있다.
국회는 14일 박 후보자에 대한 ‘부적격’ 의견을 채택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청와대에 송부했다. 여당 의원들이 대거 퇴장한 채 보고서 채택이 이뤄졌지만 사실상 여당도 묵인한 보고서다.
하지만 청와대는 전날에 이어 여전히 ‘무대응’ 기조를 이어갔다. 청와대 관계자는 “당분간 박 후보자에 대한 입장을 내지는 않을 것”이라며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당분간’이라는 말은 하루 이틀이 아니라 더 오랜 기간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청와대가 시간을 끄는 이유는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국회 인준안 처리 역시 불투명한 마당에 굳이 박 후보자에 대한 입장을 낼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로선 박 후보자가 낙마한 뒤 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준도 부결되는 것은 최악의 시나리오다. 최선은 박 후보자와 김 후보자 모두를 지키는 것이지만 쉽지 않다. 차선책은 박 후보자가 낙마하더라도 김 후보자를 지키는 쪽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 이전에 어떤 일들이 벌어진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어렵다”며 “본회의가 28일 예정돼있고 대법원장 임기가 24일까지여서 사법부 수장 공백이 헌정사상 처음으로 초래된다. 그것은 여야에게 모두 부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다. 여당 내에선 박 후보자는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기류가 압도적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박 후보자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 후보자를 둘러싼 현 상황이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고위공직 후보자에서 낙마했던 다른 인사들의 수순을 그대로 밟을지도 주목된다. ‘후보 지명→여론 악화→자진 사퇴’ 수순이 이번에도 재연될 가능성은 상당히 큰 셈이다. 문 대통령이 지명한 차관급 이상 공직자 중 안경환(법무부)·조대엽(고용노동부) 전 장관 후보자, 박기영 전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이유정 전 헌법재판관 후보자 등은 지명 이후 개인적 문제, 불미스러운 이력 등이 문제가 돼 결국 자진 사퇴했다.
문동성 기자
후보지명→여론악화→자진사퇴… 박성진도 ‘낙마수순’ 재연?
입력 2017-09-15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