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틀리프의 한국 이름은 나들잎으로?’
미국 출신 외국인선수 리카르도 라틀리프(28·서울 삼성·사진)의 특별귀화 작업이 급물살을 타면서 대표팀과 농구팬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국내 리그를 평정하고 있는 라틀리프가 귀화를 통해 태극마크를 달 경우 남자농구대표팀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농구팬들은 벌써부터 라틀리프의 ‘한국이름 짓기’에 동참하는 등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대한민국농구협회(KBA)와 한국프로농구연맹(KBL)은 지난 13일 라틀리프의 특별귀화를 본격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라틀리프는 두 단체의 특별귀화 대상자 추천에 따라 대한체육회 스포츠공정위원회로부터 심의절차를 밟는다. 이를 통과하면 다음 달 중순쯤 법무부 국적심의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특별귀화 작업을 마치게 된다.
KBA 관계자는 14일 “라틀리프는 대표팀에 반드시 필요한 선수다. 단계별 심의절차에 신중히 접근하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라틀리프의 귀화까지 절차가 남아 있지만 팬들은 벌써부터 들떠 있다. 라틀리프 관련 기사에는 “지금 (농구 대표팀이)세대교체에 성공했는데 라틀리프까지 합류하면 올림픽 출전도 꿈은 아닐 듯”(아이디 비룡V4)이라는 식의 기대감 섞인 댓글이 줄을 잇고 있다. 나아가 팬들은 각종 농구 관련 사이트에서 라틀리프의 한국식 이름 짓기에 한창이다.
‘나들잎’ ‘라둘리’ ‘라튤립’ 등 라틀리프를 한국 발음으로 표기한 이름이 벌써부터 인기를 얻고 있다. 또 한국농구의 중심이 돼 달라는 뜻의 ‘나들목’ ‘라태풍’ 등도 오르내리고 있다.
한국 농구는 문태종(고양 오리온)·문태영(삼성) 형제가 특별귀화, 이승준(은퇴)이 일반귀화로 태극마크를 단 사례가 있다. 이들은 모두 혼혈선수여서 라틀리프가 귀화하면 사상 최초로 비한국계 선수가 태극마크를 달게 된다.
일본 대만 등 아시아 국가들이 귀화선수를 영입해 국제대회에서 재미를 보는 가운데 최근 한국 농구는 국제대회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귀화혼혈 선수들이 대표팀에 어느정도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라틀리프에 대한 기대감에는 못미친다.
라틀리프의 포지션은 한국 농구의 최대 약점인 센터다. 게다가 그는 리바운드와 몸싸움, 골밑 득점력이 탁월하다. 라틀리프가 대표팀이 돼 골밑을 장악할 경우 우리의 강점인 기동력과 3점슛 공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김태환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은 “라틀리프가 귀화하면 골밑에서 확실하게 득점해줄 수 있는 선수를 얻는 셈이다. 김종규 이종현 오세근 등 대표팀 빅맨들과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라틀리프는 2012년부터 울산 모비스, 삼성 등을 거치며 KBL에서 활약 중인 장수 용병이다. 지난 5시즌 동안 평균 17.84점 9.9리바운드를 기록했고 두 차례 외국인선수상을 받았다.
라틀리프는 지난해 말 각종 인터뷰를 통해 한국국적 취득 의지, 국가대표 합류 희망 등을 처음 드러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검은 피부’ 한국인, 농구 국대 눈앞… 이름은 ‘라둘리’?
입력 2017-09-15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