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10년 넘게 표류해온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울산시민 식수 확보 문제를 정부에서 해결하라고 요청했다.
울산시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물 부족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시가 그동안 제안한 임시 가변형 물막이(카이네틱 댐) 안과 생태제방 안이 모두 문화재청 심의에서 부결됐다며 정부가 직접 나서서 해법을 찾아 줄 것을 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문화재청, 한국수자원공사 등에 공문으로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울산시는 “지난 10여년간 여러 대책들을 제시했지만 모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에서 부결되거나 보류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2014년 8월부터 가변형 물막이 공사를 이유로 반구대 암각화 위쪽에 있는 사연댐의 수위를 60m에서 48m로 낮추면서 식수 부족 문제가 심각해졌다고 주장했다. 울산시는 “사연댐 물을 식수로 공급받지 못하면서 물 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며 “지난 7월부터 1일 40만㎥의 식수 전량을 낙동강 물로 공급해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울산시 원수대금은 사상 처음으로 2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지난 7월 가변형 물막이 공사가 실패한 만큼 문화재청 등 관계기관에 사연댐 수위를 원상회복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거부당했다. 정부는 앞서 2009년 울산과 가까운 경북 운문댐의 물 일부를 울산시에 제공하고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운문댐의 물을 끌어오기 위해서는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이 필요한데 대구시와 구미시는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팽팽히 맞서고 있다.
영천댐, 밀양댐의 물을 끌어오는 방법도 여의치 않다. 울산에 물을 나눠줄 정도로 두 댐의 저수용량이 여유롭지 않다는 게 한국수자원공사측의 입장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시의 대책이 번번이 무산되고 해결방안 마련에 한계가 있는 만큼 관련 기관, 해당 자치단체들이 협의체를 구성해 범정부 차원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울산시의 부족한 식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방안이 제시된다면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반구대 암각화 보존 정부가 해결하라”
입력 2017-09-14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