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의 주거래은행 자리를 놓고 쟁탈전이 시작됐다. 4대 시중은행이 모두 뛰어들었다. 국민연금의 운용자산은 600조원에 이른다. 주거래은행이 되면 안정적 수수료 수입원을 확보하게 된다. 주거래은행은 자금결제, 국고납입, 일일 예치금 관리 등 기금운용 업무는 물론 연금보험료 수납, 연금지급, 법인카드 관리, 임직원 급여 지급 등을 맡는다.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은행은 국민연금 주거래은행 선정 입찰 마감일인 13일 제안서를 제출했다. 계약기간은 내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3년이다. 이후 1년 단위로 평가를 거쳐 최대 5년(2회 연장)까지 주거래은행이 될 수 있다. 현재 국민연금의 주거래은행은 2007년부터 10년째 맡고 있는 신한은행이다.
국민연금의 자산 규모가 빠른 속도로 불어나면서 눈독을 들이는 은행이 많다. 5년 전 신한은행이 주거래은행 자리를 지켜냈을 때 국민연금의 자산 규모는 380조원 수준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는 597조8000억원이다.
국민연금은 제안서를 바탕으로 후보군을 추려낼 예정이다. 10월에 현장조사를 거친 뒤 연내 계약할 방침이다. 은행들은 평가 항목 중 두 번째로 배점이 높은 ‘정보화 사업’(32점) 요건을 놓고 치열한 눈치싸움을 벌이고 있다. 전산 시스템 구축과 관리·감독 등에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은행권의 기관영업은 신한은행이 전통적 강자였지만, 최근 들어서는 다른 은행들의 추격도 만만치 않다. 국민은행은 지난 7월 경찰공무원 대출 사업권을 따냈다. 이 사업권은 5년간 신한은행 차지였다. 2015년엔 군장병 전용 ‘나라사랑 카드’ 사업권이 국민은행과 IBK기업은행으로 넘어갔다. 이 사업권은 10년간 신한은행이 맡았었다. 지난해에는 ‘경기도 금고’를 두고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10년간 경기도 금고를 담당했던 신한은행은 수성에 성공했었다.
법원의 공탁금 보관 은행을 두고도 물밑싸움이 뜨겁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법원 공탁금 보관 은행의 74.3%를 차지하고 있다. 일부 법원에서 경쟁입찰을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4대 은행, 운용자산 600조 국민연금 유치전
입력 2017-09-14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