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낙마정치에 낙마할 것” 與, 달래기 대신 ‘압박’

입력 2017-09-13 18:34

더불어민주당이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부결 이후 대야(對野) 강공책에 집중하고 있다. 부결 사태가 거야(巨野)의 횡포 때문이었다는 논리다. 특히 국민의당을 겨냥한 비판이 많다. 우호 여론을 확보해 야당을 압박하는 것 외에는 여소야대 정국을 돌파할 뾰족한 수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여당 지도부는 13일 회의에서 야권을 향한 비판을 쏟아냈다. 추미애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후보자 부결을 언급하며 “2012년 당시 이해찬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가 상의해 김 후보자를 우리 당 몫 헌법재판관으로 추천했다”며 “(국민의당이) 이분을 코드인사라고 한다면 자기부정”이라고 비판했다.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해선 “사법개혁 적임자”라며 “이번만큼은 당리당략이나 존재감이 아닌 국민의 뜻을 받드는 결정을 호소드린다”고 촉구했다. 우원식 원내대표도 “우리 당은 촛불혁명의 민심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 남은 것은 야당의 선택”이라며 “야당이 민심을 거스르고 낙마정치로 힘을 과시하려다가는 민심의 심판에 낙마할 수 있음을 명심하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이 강경하게 나서는 이유는 정기국회 초장부터 야당에 더 이상 밀릴 수 없다는 위기감이 발현된 것으로 보인다. 당장 김 후보자 처리 문제를 앞두고 있는 만큼 적폐 프레임을 부각해 문재인정부 지지여론이 높은 호남 민심으로 국민의당을 압박하겠다는 의도도 있다. 국민의당과 보수야당의 연대 고리를 끊어 국정 현안을 처리하겠다는 전략이다. 민주당은 15일은 광주·전남 지역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와 예산 당정협의회도 계획 중이다.

국민의당은 완강했다. 안철수 대표는 전북 전주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헌법과 법률에 근거한 국회 의결을 두고 청와대가 입에 담기 힘든 표현으로 비난하는 건 제왕적 권력의 민낯”이라며 “2013년 미래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하자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회와 국민을 향해 ‘레이저빔’을 쏘며 비난한 일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날 최고위에서 무소속 서영교 의원의 복당을 최종 확정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