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관장 70명 안팎 하반기에 교체한다

입력 2017-09-11 18:31 수정 2017-09-11 21:39

외교부가 올 하반기 재외공관장 인사를 통해 70명 내외의 공관장을 교체하기로 했다. 역대 최대 규모의 물갈이다. 외교부는 또 문재인정부 임기 내 외부 인사의 공관장 보임 비율을 최대 30%까지 늘리기로 했다. 현재 163개 재외공관 중 비(非) 외무고시 출신이 공관장을 맡고 있는 비율은 10%대 초반이다.

외교부 혁신 태스크포스(TF)는 11일 외교부에 외부 인사를 대폭 영입하는 ‘외교역량 혁신·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일단 이번 하반기 인사 때 전체 공관장의 43% 수준인 70명 안팎이 교체될 예정이다. 공관장 인사는 1년에 두 번(5월, 11월) 실시된다. 한 번 인사 때 보통 25∼30명 정도가 바뀌는 점을 감안하면 평소 인사 폭의 두 배가 물갈이되는 셈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역대 최대 규모의 공관장을 교체할 계획”이라며 “어느 지역의 공관장이 교체되는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현 정부 내 외부 인사의 공관장 비율을 3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문 대통령의 외교안보 기조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18일 강경화(사진) 외교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면서 외교부 특유의 순혈주의와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4강 중심의 외교 탈피를 공개 주문한 바 있다.

외교부는 ‘엘리트 코스’로 불리는 북미·북핵 관련 부서에 특정 대학, 외시 출신 인사를 배치하던 관행도 없애기로 했다. 학연, 기수와 무관하게 발탁 인사를 실시하겠다는 의미다.

강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브리핑에서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검토는 없었고 미국과 논의한 바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만일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문제라고 느끼는 상황이 되면 군사적 효용성뿐 아니라 지역 안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검토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았다. 이어 “여론이 그런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고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