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부장관 “임대주택이라는 용어 바꾸는 것 검토”

입력 2017-09-10 21:51

“제 주변에도 사회초년생들이 번듯한 직장을 다니면서도 전월세 부담감 때문에 가족이랑 같이 살거나 개인 주택을 갖기 힘든 경우가 많아요. 공공임대주택을 더 확대해야 합니다.”

국토교통부가 10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강서권 주거복지센터에서 진행한 토크 콘서트에서 20대 사회초년생인 김병용씨는 갓 취업한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호소했다.

이번 콘서트는 국토부가 정책 수요자와 일반 국민들의 주거 관련 애환과 정책 제안들을 직접 듣고 ‘주거복지 로드맵’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씨를 비롯한 50여명의 참석자는 지난달 28일부터 인터넷과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1408건의 주거복지 정책을 제안한 사람들이다. 김현미(왼쪽) 국토부 장관은 “우리나라 임대주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며 “이 정부 들어 매년 17만호의 공적 임대주택을 짓고 정부가 사서 임대를 주기도 하는 방식으로 공급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콘서트가 진행되는 동안 인터넷을 통해 ‘임대주택의 좋지 못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대형마트 등 편의시설을 지어주고 용어도 바꿔달라’는 제의가 들어오기도 했다. 이에 김 장관은 “임대주택이라는 용어를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지금은 집만 지원해주면 끝나는 식이지만 앞으로는 그 안에서 다양한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창조적인 공간을 지원하면 다소 어두운 이미지를 벗어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장관의 답변에 박수가 쏟아졌다. 김 장관은 “처음 취임할 때 ‘국토는 국민의 집’이란 얘기를 했다”며 “어떤 형태에 살든 편안하고 쾌적하게 살도록 하는 게 정부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