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정기국회 보이콧을 철회했다. 한국당은 전술핵 재배치 등 북핵 이슈와 방송장악 저지 등에 대한 투쟁을 원내외에서 병행키로 결정했다. 지난 1주일 동안 파행을 겪었던 국회는 정상화됐다.
한국당은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근에서 열린 ‘문재인정권 5000만 핵인질·공영방송장악 저지’ 국민보고대회를 마친 직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비상최고위원회를 열고 회군을 결정했다. 보이콧 철회 결정에는 홍준표 대표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흠 최고위원은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보이콧을 철회했다고 해서 한국당의 투쟁 의지가 꺾인 것은 아니다”라며 “문재인정부의 대북정책, 방송장악 음모, 포퓰리즘 등에 반대하는 투쟁을 원내외에서 더욱 강력하게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을 공격할 절호의 기회인 대정부 질문과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및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불참할 경우 손해가 더 크다는 현실적 판단이 보이콧을 접은 가장 큰 이유다. 11일 본회의에 상정될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인준 가능성이 더 높다는 계산도 작용했다. 보이콧이 장기화되면 여론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당은 전술핵 재배치와 방송장악 저지라는 투트랙으로 원내외 투쟁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홍 대표는 국민보고대회에서 “핵에는 핵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우리가 살 길이 없다”며 “전술핵 배치, 핵개발까지 촉구하는 1000만명 서명운동을 전개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당은 대구와 부산 등 영남에서 장외집회를 계속 열어 투쟁동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또 전술핵 재배치 관련 예산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할 방침이다. 한국당의 ‘북핵 해결을 위한 의원 모임’은 전술핵 재배치를 촉구하는 서한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보내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언론장악 내부 문건’에 대한 국정조사도 추진할 방침이다. 한 한국당 의원은 “보이콧 철회가 아니라 언론장악 저지 국정조사를 위해 국회로 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국정조사 필요성에 공감하는 바른정당과 협의해 이번 주 중 국조 요구서를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당은 장외집회에 10만명이 참가했다고 주장하며 크게 만족하는 분위기다. 홍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언론에서는 집회 참가인원을 의도적으로 보도하지 않고 경찰은 추산하지 않겠다고 한다”며 “쯧쯧쯧, 이것이 한국 언론의 현주소이고 경찰의 현주소”라고 비난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돌아온 한국당… ‘보이콧 회군’ 결정한 건 홍준표
입력 2017-09-10 18:34 수정 2017-09-10 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