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 ‘9·12 경주지진’을 경험한 경상북도가 전국 최초로 ‘지진방재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경북도는 “지진대응 조직 및 연구기능 강화, 각종 시설물 내진기능 보강, 지진경보 및 대피 시스템 개선, 교육훈련·홍보 강화 및 매뉴얼 정비 등 4대 전략을 담은 ‘경상북도 지진방재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해 시행에 들어갔다”며 “전국 최초로 마련되는 지진방재 종합대책을 통해 경북도가 선도적으로 지진재난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10일 밝혔다.
경북도는 자연재난과에 지진방재 담당을 신설하고 지진방재 전문가를 채용해 지진대응 조직을 보강했다. 또 대구경북연구원 내 재난안전연구센터를 신설해 지진방재 연구와 정책 개발을 하도록 했고, 도정 자문기구인 ‘안전경북 365포럼’에서도 지진안전 분과를 운영하고 있다.
경북도는 또 도청 및 시·군청 지진대응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정비하고 협업반별 임무를 명확히 규정해 징후감지, 초기대응, 비상대응, 수습복구 등 지진 단계별 현장대응 능력을 높였다.
이밖에도 공공시설물의 재난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내진율 향상을 위해 11억원을 들여 도 소유 공공건축물 56개소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경북도는 경북 동해안 지역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체계적인 지진 연구 및 조사를 전담하는 국책기관이 꼭 필요한 만큼 국립지진방재연구원이 경북 동해안 지역에 설립되도록 다각도로 노력한다는 입장이다.
경북도는 경주지진 1년을 맞아 11일부터 13일까지 경주 힐튼호텔에서 기상청, 대한지질학회와 공동으로 ‘2017 지진워크숍’도 연다. 국내·외 지진전문가 24명을 초청해 9·12 지진 이후 그간의 지진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우리나라 지진정책 및 원자력안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한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9·12 지진 당시 지진 행동요령 홍보가 부족했고 잘못된 대피방법으로 인해 피해를 본 사례가 있었다는 판단에 따라 11∼15일을 ‘지진안전주간’으로 설정하고 전국적으로 지진 안전 캠페인과 대피훈련을 실시한다.
행안부는 우선 전국 17개 시·도 주요 지역에서 160여개 기관이 참가한 가운데 지진 행동요령과 점검표를 담은 홍보물을 배포한다. 9·12 지진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부산, 울산, 경북을 포함한 전국 150여개 기관에서는 지진 대피훈련을 실시한다. 또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지진 행동요령 등을 교육할 예정이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9·12 경주 지진 1년… 경북도 ‘지진방재 대책’ 선도 나섰다
입력 2017-09-10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