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강공’ 한발 물러서나

입력 2017-09-09 05:04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잔여 발사대 4기 추가 반입 이후 중국 관영 언론에서 ‘사드 운용에 대해 관련국의 감독이나 양해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보도가 나왔다. 추가 반입 전에는 ‘사드 배치 전면 반대’와 보복을 거론하던 분위기와는 달라진 표현이어서 중국 측 태도 변화가 주목된다.

관영 환구시보는 8일 ‘중·러가 한·미에 요구해야 하는 4가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미국의 대북 군사타격 가능성이 고조된 가운데 북한은 모든 것을 걸고 핵·미사일 기술을 개발하고 끝까지 도박을 할 확률이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도 필요하지만 한국과 미국도 ‘4가지 제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첫째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 규모를 매년 축소 후 폐지하고, 둘째 미국은 한반도에 전략무기 추가 배치를 포기할 것을 거론했다. 셋째는 사드 배치 철수나 봉인, 넷째는 한·미의 참수부대 설립 중단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신문은 사드 배치에 대해 “이미 배치한 사드는 철수하거나 봉인해야 한다”면서도 “만약 사용해야 한다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을 받거나 관련 당사국의 감독과 양해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한미군이 이미 사드 배치를 완료했으니 돌이킬 수 없다면 사드 운용을 제한하는 쪽으로 협상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물론 이는 환구시보의 사설일 뿐 중국 정부의 의도는 전혀 다를 수 있지만 중국 정부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관영 언론의 입장이란 점에서 주목된다.

다만 환구시보는 “한국이 미국에 세뇌당했는지, 북한 핵실험에 놀랐는지 모르지만 한국은 북핵 문제에서 독립적인 사고력을 잃었다”고 거듭 한국을 비판했다. 또 한·미 양국을 향해 “북한앞에서 근육 자랑을 하지 말라”고 강하게 비판했다.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