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젠트리를 막기 위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젠트리 조례 제정, 상생협약 체결, 장기안심상가 조성, 상가임대차법 관련 법 제·개정 노력 등이 그것이다.
민간에서도 다양한 대안들이 시도되고 있다. ‘맘상모(맘편히장사하고픈상인모임)’처럼 임차상인들의 조직화를 통한 집단 대응도 활발해지고 있다. 맘상모는 임대차 관련 법령과 제도의 개선을 요청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강제집행 등 임대차 분쟁 현장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예술가나 자영업자들이 젠트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을 만한 곳으로 이동하는 모습도 발견된다. 영등포동, 창신동, 황학동, 창동, 상봉동 등 핫플레이스와는 무관한 지역에 공방이나 작업실, 서점, 가게를 여는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연남동의 그림책 서점 ‘피노키오’는 경주로 내려갔고, ‘문화공간 000간’은 창신동 봉제골목 언덕에 자리를 잡았다.
‘어쩌다가게’는 공공의 지원을 받아 건물을 소유함으로써 상인들과 공존하는 시민자산화, 지역자산화 모델을 보여준다. 어쩌다가게는 지난해 5월 서울시 사회투자기금에서 융자를 받아 망원동에 땅을 사서 상가건물을 지었다. 서울시는 상가자산화를 지원하기 위해 상가매입비의 75%까지 저리로 융자해준다.
망원동 어쩌다가게는 월세를 5년간 동결한다. 작은 상점과 공방, 회사 등 16곳이 입주해서 영업을 하고 있다. 어쩌다가게는 앞서 연남동에서 건물을 임대해 5년간 월세 동결이라는 조건으로 가게들에 재임대했다.
연희동에서는 건축가 김종석씨가 오래된 단독주택이나 상가건물을 임대 또는 매입해 리모델링을 한 후 적정한 임대료로 장기 임대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김씨가 주민들의 투자를 받아 동네의 주요 건물들을 확보한 뒤 임대료를 올리지 않기 때문에 동네 전체의 임대료가 제어되는 효과가 있다.
부산에서는 부동산중개인들이 새로운 실험을 하고 있다. 젠트리가 우려되는 감천동과 전포동 지역의 부동산중개인 200여명이 지난 4월 ‘부산부동산투자협동조합’을 설립했다. 이들은 옛 도심 건물을 사들여 장기 임대하는 방식으로 임대료 인상을 막고 있다.
김남중 기자
[서울 젠트리 보고서] 젠트리 맞서는 ‘맘상모’, 임차상인 조직화로 분쟁 대응
입력 2017-09-08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