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핵 공조와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 다짐한 한·일 정상

입력 2017-09-07 17:39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7일 고강도 대북 제재안이 담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추진하는 데 공조하기로 했다. 한·일 정상은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가진 회담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원유 공급 중단 제재에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해 나가기로 했다. 대화보다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을 더 강화해 나가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북핵 위협에 직접 노출된 한국과 북한 미사일의 상공 통과를 경험한 일본 정부의 절박감이 묻어난다. 특히 대화에 방점을 두던 문 대통령이 입장을 선회하면서 공조 강도가 더욱 높아졌다. 바림직한 방향이다.

양국 정상의 과거사 대처 방식은 더욱 눈길을 끈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 피해자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여전히 입장차를 보였다. 그러나 회담 이후 공개된 언론 발표문에는 전체 열 문단 중 한 문단에만 과거사 문제가 포함됐다. 양국이 과거사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미래지향적으로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북핵 위기 국면에서 과거사라는 갈등 이슈를 전면에 부각시키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한·일 관계는 역사와 경제·안보를 분리해 대응하겠다는 문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의 연장선상이다. 국익과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한 올바른 선택이다.

이번 회담이 불편한 한·일 관계를 호전시키는 계기가 되기 위해선 양국 정부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일본 정부 당국자들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나 역사 관련 망언을 자제해야 한다. 재협상 불가만 고집할 게 아니라 일본 총리의 사죄 편지 등 보완책을 고민할 때가 됐다. 우리 정부도 위안부 합의 검증 작업을 신중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합의 과정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상 국가 간의 외교적 합의 자체를 뒤엎는 것은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국민감정을 앞세우기보다 긴 호흡을 갖고 과거사 문제에 접근하는 정교한 외교 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