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공공조달시장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박춘섭(사진) 조달청장은 6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연간 55조원의 정부 구매력을 활용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벤처·중소기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조달청의 이 같은 조치는 규모가 방대한 공공조달시장의 정부 구매력을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어서 일자리 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달청은 정부 입찰과 우수조달물품 심사 때 고용창출 우수기업을 우대키로 했다. 또 고용·노동 분야 위법행위 기업에는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고용창출 우수기업에 대한 적격심사 신인도 가점 상한을 5점에서 7점으로 확대하고, 우수조달물품업체가 신규고용이나 정규직 채용 우수기업에 해당하면 우수제품 지정 기간을 기본 3년에서 최대 2년 연장해준다. 일자리 창출에 앞장선 기업에 혜택을 주겠다는 얘기다.
또 엔지니어링 등 건설기술용역 분야에 신규고용 평가점수를 확대해 청년기술자 고용을 유도하기로 했다. 임금을 체불하거나 최저임금을 위반한 사업주는 입찰 때 감점하고, 비정규직·파견근로자 등의 사용 비중에 따라 입찰 가·감점 제도를 도입한다. 사회적 일자리 관련 기업에 대한 입찰 우대, 근로환경 개선기업에 대한 용역입찰 가점도 확대한다.
조달청은 또 창업·벤처기업의 성장 촉진과 지원체계 개선을 통해 ‘진입→성장→도약’의 조달시장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벤처·창업기업 제품을 공공기관이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구축한 전용 쇼핑몰 ‘벤처나라’ 이용을 활성화하고, 추천기관을 추가 지정해 공공수요가 높은 우수품목을 중점 발굴키로 했다.
조달청은 벤처·중소기업이 공공조달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2억1000만원 미만 물품·용역은 실적 제한을 원칙적으로 폐지하기로 했다.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납품업체 선정방식의 하나인 최저가 낙찰제를 폐지해 업체간 과도한 출혈경쟁도 막기로 했다. 수출 경쟁력을 보유한 우수 조달기업과 해외 전문기업의 현지 대형 프로젝트사업 진출은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조달청 “年 55조 정부 구매력 활용 일자리 창출”
입력 2017-09-06 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