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公 직원 정규직 전환에 노조가 왜 반발?

입력 2017-09-06 19:38
부산 도시철도 운영기관인 부산교통공사가 안전요원과 청소노동자 등 비정규직 1453명을 무기계약직과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잠정 확정했다. 부산지하철노동조합은 노조와 협의를 거치지 않은데다 비정규직에 가까운 정규직화 추진이라며 반발했다.

부산교통공사는 정규직 전환 대상인 비정규직 1592명 가운데 전동차·모터카 운전과 전동차 정비 업무를 담당하는 안전요원 387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하고 노조와 협의 중이라고 6일 밝혔다. 또 100% 출자한 자회사를 설립해 청소노동자를 비롯한 1066명을 정규직으로 고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정보화 시스템 유지·보수와 승강기 관리를 담당하는 139명은 민간에 맡겨 간접 고용형태를 유지하기로 했다.

공사는 지난 7월부터 이 같은 ‘비정규직 고용개선 추진계획’을 마련해 최근 고용노동부에 보고했다. 공사 관계자는 “노사와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간제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와 ‘파견·용역 노사전문가 협의기구’를 구성해 최종 전환 규모를 결정할 계획”이라며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고용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사측이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5가지 기본 원칙 중 ‘충분한 노사협의’를 거치지 않는 등 일방적으로 정규직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의 정규직 전환계획에 온전한 정규직은 단 한 명도 없다”며 “무기계약직의 경우 정년은 보장되지만 정규직만큼의 처우를 받지 못해 비정규직에 더 가깝다”고 주장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