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한반도 위기가 전례 없이 고조된 상황에서 각국 정상과 외교 수장들이 한목소리로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법’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중국을 향해서도 강력한 대응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3일(현지시간) 총선(오는 24일)을 앞두고 마르틴 슐츠 사회민주당 대표와 벌인 TV 토론에서 “우리는 북핵 위기에 평화적 외교 해법만이 있을 수 있다고 분명히 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럽연합(EU) 차원의 강력한 대북 제재를 주장해 온 메르켈 총리는 이날 “제3차 세계대전을 막기 위해 미국 대통령 없이 이 문제(북한 위기)를 풀 수 없다”고 전제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군사옵션에 반대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도 “현행 제재의 시행을 확대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차원의 새로운 조치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역시 “EU는 대북 제재를 강화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우리는 안보리가 더 강력한 유엔 제재를 채택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EU 정상 중 가장 먼저 북한을 비난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성명에서 “북한이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서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탄도 미사일 폐기를 진행하도록 국제사회가 최대한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말콤 턴불 호주 총리도 현지 ABC방송에 “(한반도 상황이) 한국전쟁 이후 전쟁에 가장 가까워졌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절대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한반도 위기 해결의) 지렛대는 중국”이라고 강조하며 그는 “전쟁에 가까워진 상황은 중국에 결코 이익이 될 수 없다”고 강력한 대북 압박을 촉구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은 텔레그래프에 “우리는 그 어떤 군사옵션도 좋은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북한의 재래식 무기만으로 한국인 다수가 사라질(vaporised) 수 있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또 “중국은 북한 무역의 90%를 책임진다”면서 “(북한) 정권에 압력을 가할 여지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마르고트 발스트룀 스웨덴 외교장관도 “(북한 위기가) 더 악화된 상황으로 전환됐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평양 주재 대사관을 총괄하는 발스트룀 장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북한이) 더 나간다면 세계평화와 안전이 위험에 처해진다”면서 “유엔 안보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英·佛·獨 정상 “북핵, 외교적 해법이 최선”
입력 2017-09-04 1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