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자를 절대권력에 억압받는 소수자 표현, 동정표 얻게 만드는 미디어 방식 매우 우려”

입력 2017-09-20 21:30
매스미디어의 위력은 한 사람의 인생과 가치관까지 바꿔놓는다. 이런 상황에서 각종 언론매체나 논문 기고, 공개 석상에서 제기되는 동성애·동성혼의 주장을 보면 동성애자 인권을 보호해야 하고 그들의 법적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지난 7월 ‘동성애 동성혼 개헌반대 국민연합’ 창립대회 및 세미나에서 ‘성평등 보장규정 신설 개헌의 의미와 효력’을 주제로 발표한 전용태 변호사(법무법인 로고스 고문)는 “동성애·동성혼을 반대하는 주장이나 논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TV나 언론 등 미디어들의 관대한 동성애 문화 확산을 꼬집었다.

즉 동성애 문화가 놀랍게 확산돼 동성애가 삶의 ‘스타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윤리적 통제가 전혀 가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전 변호사는 동성애 문화 확산 활동의 대표적인 예로 해마다 서울과 대구 등에서 열리는 ‘퀴어축제’ 행사를 들었다. 그는 “공연음란죄에 해당할 정도로 동성애자들의 음란한 반라시위가 공공연히 벌어지는데 해당 지자체에선 아무런 제재도 가하지 않는다”며 “허가의 근거로 동성애 성행위를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 국가인권위원회법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가장 대중적인 TV드라마에서조차 동성애가 흥행코드로 자리 잡은 지는 오래다. 남장여성 캐릭터와 진짜 여성, 여장남성 캐릭터와 진짜 남성, 또는 친구에서 발전해가는 두 남성의 사랑신 등은 극중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며 시청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드라마뿐 아니라 시사프로그램을 통해서도 동성애 등에 대한 탐사보도가 여러 차례 방송됐다.

송해룡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예영)이란 책에서 “TV와 같은 영향력 높은 매스미디어가 동성애를 인간적 관점에서 관용을 베풀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식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동성애자를 절대권력에 억압받고 있는 소수자로 표현해 동정표를 얻게 만드는 미디어의 방식이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노희경 기자 hk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