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6차 핵실험] 美 재무 “北과 무역·거래하면 우리와 무역·거래 막힐 것”

입력 2017-09-04 05:02 수정 2017-09-04 18:0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3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내놓은 첫 반응은 중국이 제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것과 그동안 한국이 견지해온 대북 유화정책이 실패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곧 앞으로 ‘대화’보다는 제재에 더 초점을 맞춘 대북 정책을 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새로운 대북 제재를 통해 북한의 모든 교역관계를 끊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북한과 무역이나 거래를 하면 미국과의 무역과 거래가 막힐 것”며 조만간 새 제재안을 만들어 트럼프 대통령에게 강력히 요청하겠다고 밝혔다고 폭스뉴스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휴일인데도 백악관에서 긴급 국가안보회의(NSC)를 소집해 대응책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NSC에 앞서 트위터 글에서 북한에 대해 “말과 행동이 미국에 아주 적대적이고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그가 지난달 16일 “(괌 포격을 유예한) 북한 김정은은 현명하고 사려 깊은 판단을 내렸다”면서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했던 것과는 사뭇 달라진 태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다시 북한을 불량국가(rogue nation)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향후 전개될 상황에 대해 “6차 핵실험은 미국의 강한 분노를 자아낼 것이고, 워싱턴의 북핵 대응 방정식을 바꿔놓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뉴욕타임스(NYT)는 6차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 방안은 제한적이라고 보도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기지를 폭격하는 등 군사적 옵션을 선택할 경우 이에 반발한 북한이 보복에 나서면 한국과 일본이 입을 피해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핵 대응 전략도 경제적 제재와 군사적 무력시위를 강화하는 선에서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결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한 새로운 대북 제재가 추진되는 등 제재 수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완강한 반대로 무산된 원유공급 중단 카드가 유엔에서 다시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중국에 원유공급 중단을 강력하게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언론은 북한의 핵실험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이자 미국의 노동절(9월 4일) 연휴에 맞춰 감행된 것이라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을 자극하기 위한 의도적인 시기 선택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이 첫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시험을 한 것은 미국의 독립기념일인 7월 4일이었고, 5차 핵실험은 지난해 9월 9일 북한정권 수립일에 실시됐다.

미 전문가들은 북한이 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수소폭탄 제조에 성공했다는 발표에 대해서는 분석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