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운영한 ‘사이버 외곽팀’에서 대기업 임원, 교수, 언론인 등 사회지도층 인사가 팀장으로 활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원은 자체적으로 신원조회를 실시하는가 하면 대포폰을 활용해 비밀 점조직처럼 댓글부대를 운영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중앙지검은 3일 “지난 1일 추가로 수사 의뢰된 외곽팀장 18명은 대기업 간부, 사립대 교수, 언론계 종사자, 미디어 전문가, 대학생 등 다양한 경력을 가진 이들”이라고 밝혔다. 국정원이 지난달 21일 수사의뢰한 외곽팀장 30명은 이 전 대통령 지지 단체 대표, 뉴라이트계열 보수 단체 간부 등 보수 인사 중심이었다.
검찰은 국정원 직원이 외곽팀장 및 팀원 전원의 신원조회를 실시했으며 대포폰을 활용해 외곽팀장만 접촉하는 등 점조직 형태로 외곽팀을 운영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정원은 외곽팀장을 대상으로 활동 내용을 발설하지 못하게 막는 한편 향후 수사를 대비해 대처 요령을 정기적으로 교육하는 등 철저한 보안 조치를 취했다. 나아가 외곽팀에 활동 방향 및 논지를 전파하고 활동 실적, 파급력 등 자체 기준에 따라 활동비를 지급했다. 활동 실적이 부진할 경우 경고 또는 퇴출하기도 했다.
검찰은 국정원이 이 같은 수법을 동원, 트위터를 중심으로 사이버 여론 조작 활동을 장기간 체계적으로 수행해 온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추가 수사의뢰된 외곽팀장 18명에 대해 출국을 금지하고 계좌 추적에 착수했다.
국정원 퇴직자 모임인 양지회 회원들이 조직적으로 댓글 공작을 벌인 정황도 포착됐다. 이들은 댓글을 달기 위해 SNS 등 인터넷 활용법까지 배운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양지회 사무실 및 회원 10여명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한편 전·현직 간부를 소환 조사해 양지회 일부 회원이 소모임 ‘사이버 동호회’를 통해 조직적으로 댓글 활동에 가담한 정황을 파악했다. 양지회 관계자는 “회원의 여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 서초구 사무실에서 컴퓨터, 서예, 바둑 등 취미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컴퓨터 수업이 댓글 공작의 학습장으로 변질된 것으로 검찰은 판단하고 있다.
신훈 황인호 기자 zorba@kmib.co.kr
베일 벗은 댓글부대… 국정원 ‘사이버 외곽팀’ 팀장에 기업임원·교수·언론인 등 활동
입력 2017-09-04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