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의혹' 이유정 헌법재판관 후보자
이유정(사진) 헌법재판관 후보자가 미공개 정보 주식거래 논란이 번지자 1일 자진 사퇴했다. 후보자로 지명된 지 24일 만으로 문재인정부 다섯 번째 고위 공직 낙마자다. 이 전 후보자는 이날 오전 입장문을 통해 "저의 문제가 임명권자와 헌법재판소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제가 원하는 바가 아니며, 제가 생각하는 헌법재판관의 역할도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주식거래와 관련돼 제기된 의혹들은 사실과 다름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 의혹과 논란마저 공직 후보자로서의 높은 도덕성을 기대하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았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며 사과했다.
이 전 후보자가 사퇴한 것은 전날 주식거래 논란을 적극 해명했음에도 부정적 여론이 잦아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1년6개월 동안 이 전 후보자의 주식 가치는 12억2000여만원이나 올랐다. 그는 2013년 비상장사였던 내츄럴엔도텍 주식을 로펌 동료로부터 매입한 뒤 팔아 5억원대 시세차익을 거뒀다. 이 전 후보자 소속 법무법인이 내츄럴엔도텍 관련 사건을 수임한 사실 때문에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불법 주식거래 의혹이 불거졌다.
청와대는 인사 검증 과정에서 이 전 후보자의 주식 보유 내역은 확인했으나 거액의 차익을 거둔 과정과 불법성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내츄럴엔도텍 주식거래 과정에서) 불법적인 부분은 확인한 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로펌 내 여러 명이 내츄럴엔도텍 주식을 매입했고 매입자들의 매각 시점이 다 달라 손해본 사람도 있다고 한다"며 "이 전 후보자는 이익을 거뒀지만 정황상 불법적인 요소는 없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주식 거래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사퇴와는 별개로 이 전 후보자의 주식 거래에 대한 금융 당국의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오신환 바른정당 의원은 이날 금융위원회를 방문해 이 전 후보자의 주식 내부거래 의혹 관련 진정서를 제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조사를 할지 여부를 고민 중"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금융 당국 조사까지는 불필요해 보인다는 게 내부 분위기"라고 전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성향 논란' 박성진 중기벤처부 장관 후보자
청와대는 창조론, 뉴라이트 사관 논란 등이 불거진 박성진(사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업무 수행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한다"며 정면돌파 의지를 내비쳤다. 청와대는 1일 오전 임종석 비서실장 주재 현안점검회의에서 박 후보자 인선을 두고 심층 토론을 벌였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여러 논란에 대한 조사 결과도 보고했다. 회의에선 역사인식과 이념적 정체성에 대한 비판이 실제보다 과하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박 후보자가 소시민적으로 살아온 부분은 분명해 보인다. 크리스천이고, 박태준 전 총리를 존경하는 부분도 알고 있었다"며 "그러나 기계공학 분야에서의 세계적 권위자이며, 벤처기업 육성 노력을 기울여 왔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말했다.
보수적인 박 후보자가 정부 국정철학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는 "국무위원으로서 우리가 가진 상식적 수준의 역사관을 갖고 있다면 환영할 일"이라며 "그러나 공대 출신으로서 연구에만 전념해온 분들이 건국절 논란 등에 깊이 있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수 성향을 지녔다고 해서 중기벤처부 업무를 못하는 게 아니다. 현 상황에서 업무 수행에 지장이 없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고 말했다. 박 후보자가 보수 성향을 지녔지만 뉴라이트 등의 활동은 주변 인간관계의 영향을 받았을 뿐 깊이 개입하지는 않았다고도 했다.
오전 회의에서는 박 후보자에 대해 '생활 보수', '교회 오빠' 등의 표현이 나왔다고 한다. 보수적 태도를 가진 연구자일 뿐 정치적 성향과는 거리가 멀다는 의미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은 직무 수행에 적합한 인사라면 보수, 진보를 가리지 않고 적재적소에 쓰겠다는 인사철학을 가지고 있다"며 "박 후보자는 이런 인사철학에서 벗어난 후보가 아니라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정면돌파 배경에는 험난했던 중기벤처부 장관 인사 과정도 반영됐다. 청와대는 기업인 출신을 포함해 30여명을 접촉해 설득했지만 대부분 공직자 주식 백지신탁 문제 때문에 고사했다. 기업인이 주식 백지신탁을 하면 회사 경영권을 잃어버릴 수 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엇갈리는 이유정·박성진… ‘주식의혹’ 아웃, ‘성향논란’ 정면돌파
입력 2017-09-01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