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시대’에 소외될라… 정부 ‘중견기업’ 지원 나선다

입력 2017-09-01 21:36

정부가 한국 경제의 ‘성장사다리’로 평가받는 중견기업 지원에 나선다. 중견기업들은 그동안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 끼여 ‘정책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을까 우려해 왔다(국민일보 8월 7일자 16면 참조).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 및 유관기관과 함께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중견기업 정책혁신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고 혁신전략을 마련한다고 1일 밝혔다. TF는 앞으로 기존 중견기업 정책을 전면 재평가하고 혁신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지난 7월 정부조직이 개편되면서 중견기업 업무가 중소벤처기업부(당시 중소기업청)에서 산업부로 이관되자 산업부가 정책 점검에 나선 것이다.

TF는 다음달 말(잠정)까지 혁신방안을 만들어 발표할 계획이다. 유망 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중견기업 정책 추진 현황·계획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성장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개선하는 내용도 담을 예정이다.

TF는 ‘총괄 분과’와 함께 ‘산업 생태계’ ‘글로벌 혁신’ ‘산업·무역 융합’ 등 3개 실무분과로 구성된다. 이날 열린 TF 회의에는 기재부와 공정거래위원회 등 8개 부처 및 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 등 관계자 21명이 참석했다.

중견기업은 ‘경제에 안정성을 더하는 경제 허리’로 평가된다. 저성장 추세가 계속되고 4차 산업혁명 시대가 가까워질수록 기술기반을 갖춘 중견기업의 중요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TF도 “중견기업은 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로 진입하기 위한 필수 기업군”이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중책을 맡은 기업군이지만 중견기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일까 전전긍긍해야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중소기업 시대’를 내걸고 대·중소기업 상생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추진하면서 그 위기감은 더 커졌다.

반원익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이 더 이상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생각하지 않도록 현실적인 정책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겠다”며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끌 ‘혁신적 중견기업’을 기르는 방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