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에 사이렌이 울려 퍼지자 100m 상공에 떠 있던 무인비행장치(드론)가 날렵하게 방향을 틀었다. 드론 교도관의 출동이다.
법무부 교정본부는 31일 경기도 안양교도소에서 ‘드론을 이용한 교정시설 경비 시범운영 현장설명회’를 열었다. 도주자를 추적하는 장면을 시연했다.
자동 추적 기능을 갖춘 드론은 즉각 도주자의 머리 위로 따라 붙었다. HD급 고화질 카메라로 촬영한 도주자의 모습은 중앙통제실에 실시간으로 중계됐다. 통제실에서는 실시간 화면을 보며 기동순찰대원 6명을 지휘했다. 수용자는 금세 붙잡혔다.
외부에서 드론을 이용해 교도소에 침투하는 일도 ‘교도관 드론’이 잡는다.
“외부에서 부정한 물품을 운동장으로 투척하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직원들은 즉시 조치바랍니다.”
교도관의 무전기가 쉴 새 없이 울렸다. 교도관 드론에서 투망이 뻗어나왔다. 담을 넘어 날아오던 침입자 드론은 그물에 싸여 땅에 떨어졌다. 담배, 마약 등 반입금지 물품이 함께 바닥에 뒹굴었다.
법무부는 지난 7월 1일부터 안양교도소를 비롯해 강원도 원주교도소, 경북 북부 제1교도소 등 교도소 3곳에 드론을 시범적으로 배치해 경비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안양교도소에서는 오전 8시와 오후 4시 매일 2차례 드론을 활용한 경비 업무를 실시하고 있다. 실시간 영상 전송, 피사체 추적, 장애물 회피 기능 등을 갖춘 드론은 최대 시속 94㎞로 비행할 수 있다. 드론은 교정시설 내외부 순찰, 도주사고 발생 시 지휘 및 추적, 재난예방, 시설물 점검 및 관리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드론은 수용자가 단체로 외부활동을 하는 일과 시간, 야간 상황, 재난 상황에 주로 투입된다. 특히 교도관이 접근하기 어려운 옥상이나 감시카메라가 비추지 못하는 사각 지대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긴급 상황 발생 시 촬영한 영상을 곧바로 통제실로 전송하기 때문에 교도관들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법무부는 단순한 경비 업무에 그치지 않고 향후 드론을 활용한 대(對)드론 방어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법무부는 드론 경비 시스템을 연말까지 6개월간 시범 운영한 뒤 효과 분석을 통해 내년 상반기부터는 전국 53개 교정시설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범죄수법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다”며 “교정시설에서도 첨단화된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양=신훈 기자 zorba@kmib.co.kr
도주자 추적·시설물 관리… ‘드론 교도관’ 떴다
입력 2017-08-31 19:06 수정 2017-08-31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