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경북 포항 앞바다에서 전복돼 선원 4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된 대게잡이 통발 어선 803 광제호는 강한 파도에 순식간에 뒤집혔다는 선장 진술이 나왔다.
출항할 때 적재물이 28t으로 배 무게와 맞먹어 높은 파도에 복원력을 잃고 순식간에 전복됐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포항해양경찰서는 31일 브리핑에서 광제호(27t)는 30일 오전 3시 포항 구룡포항을 출항해 울릉도 쪽으로 가다 1시간33분 만에 호미곶 동쪽 22해리(41㎞) 해역에서 뒤집혔다고 밝혔다. 당시 해역에는 초속 10∼12m에 이르는 강한 바람이 불고 2.5∼3m의 높은 파도가 일었다.
선장 김모(58)씨는 “당시 2.5m 파도를 헤치며 시속 6∼7노트 속도로 울릉도 쪽으로 항해하던 중 갑자기 배가 기울어졌다. 비상벨을 누른 뒤 갑판장과 함께 창을 통해 바다로 탈출해 부이를 잡고 있다가 기관장에게 구조됐다”고 진술했다.
출항 당시 어선에는 통발 697개, 얼음 7.75t, 물 1t, 로프 25㎞ 등이 실려 있었는데 총 무게가 28.7t으로 추산됐다.
해경은 과적으로 복원력이 떨어진 어선이 강한 파도를 맞고 순식간에 전복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원인을 정밀히 조사할 방침이다.
포항해경 관계자는 “전문기관에 의뢰해 적재물 위치, 복원력 관련 여부 등을 조사해 과실 여부가 드러나면 처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해경은 이날 803광제호를 물 위로 인양했지만 배 안에서 실종자를 찾지 못했다. 사고 지점에서도 항공기와 함선이 수색을 계속했으나 성과가 없었다.
포항 앞바다에서는 31일 선박 충돌사고가 또 발생했다. 오전 4시42분쯤 포항 구항 앞 해상에서 7.93t 정치망 어선 T호가 4.6t 소형어선 T-13호(T호 종선)를 끌고 가던 중 171t 예인선에 이끌려 입항하던 1207t 바지선 K호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T-13호 승선원 3명이 바다에 빠졌고 출동한 경비함정이 2명을 구조해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1명은 숨지고 1명은 의식이 없는 상태다. 나머지 1명은 실종 상태로 계속 수색 중이다.
포항=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포항 어선 전복 원인 과적 가능성
입력 2017-08-31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