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 물꼬 선점”… 신고리원전 여론몰이

입력 2017-08-31 05:00
지난 28일 신고리원전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이날 방문은 지역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당초 예정보다 1시간쯤 지연됐다. 뉴시스

대국민 설문조사와 공사현장 방문 등 신고리원전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활동이 본격화되면서 지역 단체들이 양보 없는 여론몰이에 나서고 있다. 찬반 의견으로 나뉜 이들 단체들은 공론화 기간에 여론을 선점해 유리한 결론을 이끌어내겠다는 복안이다.

30일 서생면 주민협의회와 탈핵단체 등에 따르면 다음 달 9일 이장협의회를 시작으로 남울주발전협의회, 여성단체협의회, 읍면체육회장협의회, 기관단체장 등이 차례로 기자회견을 열어 신고리5·6호기 계속 건설을 촉구할 방침이다.

울주군청년연합회 관계자는 이날 “5·6호기 건설이 중단된다면 지역 경제에 미칠 후폭풍은 엄청날 것”이라며 “원전이 없어지면 일자리가 줄어들고 생계에도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5·6호기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지역 단체장과 주민 등 3000여명은 다음 달 6일 울주군 언양읍 군민체육관에 모여 범시민궐기대회를 열기로 했다. 또 9일 오후에는 한수원 노조와 서생 주민들이 태화강역에서 계속 건설을 요구할 예정이다.

이처럼 한수원 노조와 일부 지역주민 등 원전 건설 중지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탈핵을 주장하는 시민사회단체들도 한데 뭉쳐 행동에 나서고 있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부산·울산시민운동본부와 부·울·경 탈핵연대는 31일 간절곶에서 신고리 현장까지 차량 행진하며 퍼포먼스를 벌이는 등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1차 집중행동에 들어간다. 이어 9일 오후에는 울산대공원에서 롯데백화점까지 거리 행진을 통해 원전의 위험성을 알리기로 했다.

환경운동연합도 전국 54개 지역조직, 8개 전문·협력기관과 함께 캠페인과 시민토론회, 서명운동 등 신고리 백지화 집중행동에 나섰다. 다음달 9일에는 울산에서 신고리 백지화를 촉구하는 전국 시민집회를 마련할 예정이다. 전국 858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도 탈핵 여론 확산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한편 공론화위원회는 앞으로 6차례의 공개토론회와 4차례의 TV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지역주민 등에 대한 간담회도 4차례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을 촉구하는 지역 주민들은 공론화위원회를 ‘불법단체’로 규정하고 대화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공론화위원회의 활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법적 조치에 나섰다. 신고리 공론화위원회 효력 집행정지 신청을 서울행정법원에 제출한데 이어 서울중앙지법에는 공론화위원회 효력 정지 가처분 및 무효 확인 소송을 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