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숙박시설 6200여실 더 공급… 예술가 권익보장 관련 법률도 제정키로

입력 2017-08-30 18:48 수정 2017-08-30 23:01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 핵심정책토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부세종청사에 들어서고 있다. 대통령 업무보고를 대신하는 핵심정책토의는 보고 시간을 줄이고 자유토론 위주로 진행됐다. 세종=이병주 기자

정부가 약 5개월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숙박과 교통 등 대회 인프라 구축과 홍보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문체부·교육부 핵심 정책토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우선 강원도 강릉과 평창 지역의 숙박요금을 안정시키기 위해 6200여실의 신규 숙박시설을 공급하기로 했다. 행정지도와 적정가격 업소 정보 제공, 업계 자율 협의 등을 통해서도 숙박비 안정을 유도할 계획이다.

대회 기간 중 대중교통 증편, 무료 셔틀버스 운행, 올림픽 전용차로 개설을 통해 교통 인프라를 확충하고, 차량 2부제와 시내버스 무료 운행 등으로 이동 수요를 분산하기로 했다. 남은 기간 집중적인 홍보로 대회 분위기를 붐업하기로 했다. 연예인과 저명인사 등이 참여하는 입장권 판매 이벤트, 개막 전 150일 기념 콘서트, 성화 봉송 행사 등을 진행한다. 또 강렬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SNS 등에 홍보하기로 했다. 글로벌 여행 사이트 등에 평창동계올림픽과 한국관광 정보를 제공하고 교통·숙박·식당 정보를 다국어로 제공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힘쓸 예정이다.

도 장관은 문화예술인의 창작권을 보장하는 방안도 비중 있게 보고했다. 정부는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문화정책 원칙에 따라 예술가들을 정치적 압력이나 검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예술가의 권익보장에 관한 법률’(가칭)을 제정하고,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예술인들이 생계를 유지하면서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실업급여를 지원하는 ‘예술인 고용보험’과 긴급 자금을 대출해주는 ‘예술인 복지금고’ 제도도 곧 도입하기로 했다.

또 영화 방송 미술 등 문화예술 유통시장 개선안을 보고했다. 유통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공정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표준계약서 의무화, 저작권 수익분배체계 개선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글=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