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로 예정된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확정을 앞두고 절대평가 확대 범위를 둘러싼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교원 단체와 교육 분야 시민단체 등은 여론조사 결과나 성명을 발표하며 여론전을 펴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국어 수학 탐구를 뺀 나머지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1안, 모든 과목을 절대평가로 바꾸는 2안을 제시하고 여론을 살피는 중이다. 설문조사 결과도 조사 주체와 대상마다 크게 엇갈리는 상황이다. 졸속으로 추진된 수능 개편안 때문에 빚어진 학교 현장의 혼란상을 그대로 보여준다.
엇갈리는 여론조사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28일 발표한 설문조사를 보면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2안을 선호하는 의견이 많았다. 갤럽이 지난 22∼24일 3일간 학부모 등 1004명에게 조사한 결과 일부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1안 지지 비율은 35%, 2안 지지 비율은 45%였다. 특히 중학생 학부모는 1안 27%, 2안 48%로 격차가 더 컸다. 초등학생 학부모 역시 1안 34%, 2안 49%로 나타났다.
“어느 방안이 사교육과 학습 부담을 줄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2안을 선택한 응답이 43%로 1안 25%보다 18% 포인트 더 많았다.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게 일부만 전환했을 때보다 사교육과 학습 부담 경감 효과가 더 크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걱세는 “이번 수능 개편안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학부모일수록 2안 지지가 더 높았다”고 주장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조사 결과는 달랐다. 교총이 지난 17∼23일 고교 교사 1613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한 결과 902명(55.9%)이 1안을 선택했다. 2안을 택한 교사는 566명(35.1%)으로 집계됐다. 교총은 “장기적으로 절대평가가 바람직하지만 현장 여론도 고려해야 한다”며 1안에 무게를 실었다.
난무하는 주장, 혼란스러운 현장
반면 교육단체인 좋은교사가 지난 17∼22일 초·중·고 교사 68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상급학교 교사일수록 2안 찬성 비율이 더 높았다. 고교 교사의 68.2%가 2안을 지지했고 31.8%만 1안을 선호했다. 중학교 58.6%, 초등학교 57.2%는 2안을 택했다. 좋은교사는 “변별력 틀 안에 고교를 가둬놓는 한 자유롭게 탐구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1안으로 기울었다는 관측이 제기되자 절대평가 전환을 주장해 온 단체들이 더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국국어교사모임과 전국수학교사모임은 지난 24일 전 과목 절대평가를 주장하는 성명을 내고 “대학의 선발 수단에 불과한 수능 때문에 고교 교육과정이 왜곡되고 있다”며 수능 자격고사화를 주장했다. 전국진학지도교사협의회와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는 아예 1, 2안 모두 졸속이라고 비판했다. 이 단체들은 2안을 골자로 한 새로운 개편안을 마련하기 위해 31일로 예정된 최종 발표를 미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수능 졸속 개편안… 혼란스러운 교육현장
입력 2017-08-29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