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가 삼성전자와 손잡고 유통과 정보기술(IT)을 결합한 미래형 매장을 선보인다. 현수막 광고를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대체하는 하드웨어 투자뿐 아니라 고객 동선 분석 등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나선다.
이마트는 삼성전자와 ‘디지털 사이니지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먼저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이마트 죽전점을 디지털 사이니지 시범 점포로 삼고 오는 10월 내부 광고판의 80%가량을 디지털 사이니지로 교체할 예정이다. 천장에 매달아 사용했던 매장 내 행사 안내물과 현수막 대신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가 자리잡게 된다. 디지털 사이니지란 TV나 LED 등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옥내외 광고를 의미한다. 관제센터에서 통신망을 통해 광고 내용을 제어할 수 있어 광고 교체 주기를 언제든 조절할 수 있다. 광고에는 사진뿐 아니라 영상과 소리도 함께 내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마트는 디지털 사이니지 도입으로 소비자 밀착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마트 측은 “기존 광고 형식은 몇 명이 광고에 관심을 갖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아쉬움이 있었지만 디지털 광고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들이 찾는 상품을 때에 따라 알 수 있어 타기팅 광고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오전에는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생활용품을, 저녁에는 바로 해먹을 수 있는 야식 등을 노출하는 식이다. 깜짝 세일을 하는 상품을 소개할 경우 고객 동선에 맞춰 광고판을 띄워 다른 층에 있는 소비자도 세일 코너를 찾아올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마트는 내년 200억원을 투자해 디지털 사이니지 점포를 30여개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오는 10월에는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 중인 ‘쇼핑 패턴 분석 기술’도 도입한다. ‘히트 맵(Heat Map)’으로 불리는 고객 동선 분석 기술을 통해 누가 어떤 물건을 어디에서 구입하는지, 어느 매대에서 얼마나 오래 머무는지, 어느 경로로 움직이는지 등을 분석하게 된다. 이 정보를 토대로 향후 매장 진열이나 상품 배치, 재고 관리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안면 인식 프로파일링’ 기술을 통해 고객 성별, 연령대에 맞춰 가장 적절한 광고를 찾아 제공하는 시스템도 구축해 선보일 예정이다. 남윤우 이마트 개발본부장은 “상품 혁신뿐 아니라 인프라 확충에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디지털 사이니지 인프라가 미래형 마트에 중요한 한 축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이마트, 삼성전자와 함께 미래형 마트 만든다
입력 2017-08-28 18:22 수정 2017-08-28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