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법원 결정 존중” 재계 “총수 공백 우려”

입력 2017-08-26 05:02

청와대와 여야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법원의 유죄 판결을 존중한다는 입장과 함께 이를 계기로 삼성전자가 건전한 기업으로 거듭날 것을 촉구했다.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25일 “우리 사회가 한발 더 나아가는 데 걸림돌이 되어온 정경유착의 질긴 고리를 끊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세종시 홍익대 국제연수원에서 열린 연찬회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판결은 전 세계가 주목할 정도의 사안이었고 대한민국에 사법정의가 살아있는지, 정경유착에 철퇴를 가할 수 있는지 (전 세계가) 주목했다”며 “정경유착에 철퇴를 가한 판결에 국민이 안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효상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법원의 판결을 존중한다”면서도 “이번 재판을 둘러싸고 정치·사회적 압박이 존재했다는 사실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항소와 상고심 절차에서 실체적 진실이 더 밝혀지고 억울한 재판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재벌의 변칙적인 경영권 승계에 경종을 울리고, 재벌총수와 정치권력간의 검은 거래에 뇌물죄 법리를 적용했다는 점에서 판결의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박정하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은 “최순실을 둘러싼 박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을 인정한 헌법 재판소의 결정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판결”이라며 “삼성이 이를 계기로 건전한 기업으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했다.

재계는 삼성의 경영공백과 이미지 타격이 국내 기업 전체로 번지지 않을까 우려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 전반의 분위기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윤리 경영에 예민한 유럽 등 해외 사업에도 한국 기업의 이미지가 추락해 부정적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는 걱정도 있다”고 전했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삼성그룹 경영에 당장 영향을 주지 않더라도 길게 보면 비관적인 상황인 것은 사실”이라며 “공격적 투자를 하거나 큰 책임이 따르는 일을 전문경영인이 주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최승욱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