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재산이 지난해 5월 국회의원 퇴직 당시보다 3억여원 늘어난 18억2246만원(5월 10일 취임 기준)으로 신고됐다. 청와대 참모진 중 가장 높은 재산을 신고한 이는 장하성 정책실장(93억1962만7000원)이며 문 대통령을 포함한 청와대 공직자 평균 재산은 19억7892만원이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고위공직자 재산등록사항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재산은 지난해(15억759만4000원)보다 3억1486만6000원 늘었다.
문 대통령의 재산 증가는 예금 등 현금성 재산 증가 때문으로 분석된다. 문 대통령은 본인 명의 예금 5억2117만2000원, 김정숙 여사 명의 3억2283만3000원, 모친 명의 2379만9000원을 각각 신고했다. 여기에 대선 사무실 임대보증금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난 1억1300만원, 농협 채무 상환금액 2억원을 합하면 문 대통령의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에 비해 6억원가량 늘어났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재산 증가 이유로 ‘대한민국이 묻는다’ ‘운명’ 등 저서 인세 수입과 법무법인 부산 지분 정리 금액 및 퇴직금 등을 꼽았다. 저서 인세는 8198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법무법인 부산 지분 액면가는 8370만원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법무법인 지분 액면가가 8000만원대지만 실제 거래 금액은 그보다 훨씬 높다”며 “지분 매각 및 퇴직금이 재산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보유하고 있는 경남 양산, 제주도 한경면 청수리 땅의 가액은 지난해 대비 2506만2000원 오른 3억3758만5000원이다. 보유 건물의 가치는 모두 7억5805만4000원으로 양산 자택이 3억2600만원, 김 여사 소유의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자택은 2억8500만원으로 조사됐다. 자동차는 대통령 본인 명의 2010년식 쏘렌토와 김 여사 명의의 2013년식 스포티지R 두 대를 보유했다. 지식재산권으로는 ‘대한민국이 묻는다’ 등 저작재산권 10건을 신고했다. 김 여사가 쓴 ‘정숙씨, 세상과 바람나다’ 1권에 대한 저작재산권도 포함됐다. 장남 문준용씨는 지난해까지는 재산 공개에 이름을 올렸으나 올해는 독립생계 유지를 이유로 고지를 거부했다.
청와대 참모진의 재산도 공개됐다. 재산 1위는 장하성 정책실장으로 93억1962만7000원이었다. 임종석 비서실장의 재산은 4억3424만원이었으며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23억8535만원, 주영훈 경호실장 14억2661만원, 전병헌 정무수석 12억9978만원, 조국 민정수석 49억8981만원,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19억4437만원, 김수현 사회수석 12억6662만원, 하승창 사회혁신수석 3억1008만원, 조현옥 인사수석 7억1332만원, 이상철 안보실 1차장 7억2848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문 대통령 18억… 인세 등으로 1년 만에 3억 늘어
입력 2017-08-2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