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들어섰지만 통계청은 바뀌지 않았다. 나쁜 통계를 감추고, 정권 입맛에 맞춰 통계를 왜곡하는 행태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 1분기까지 가계동향조사에 따른 소득분배 지표를 발표했다. 그런데 통계청은 지난 24일 정오 국가통계포털에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공표하면서 소득 5분위 배율 등 소득분배 지표를 이유 없이 뺐다. 별도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에게 알리지도 않았다. 통계청 확인결과 2분기 5분위 배율(전국가구 기준)은 4.73배로 지난해 2분기(4.51배)보다 높아지면서 소득분배 지표가 6분기 연속 악화됐다.
통계청은 국민에게 알리지 않았지만 상급기관인 기획재정부에는 사전에 관련 통계를 성실하게 제공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분기 가계동향조사 통계가 국가통계포털에 올라오기도 전인 24일 오전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지난해 이후 6분기 연속 소득분배 악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국민의 세금으로 만든 통계를 국민들은 모르고 상급기관 공무원들만 알게 한 것이다.
통계청은 문제가 된 24일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결과 발표’ 보도자료를 냈다. 정작 국민들이 궁금한 것은 뺀 채 일회성 행사 자료 홍보만 한 것이다.
통계청의 ‘통계 마사지’는 이번뿐만이 아니다. 박근혜정부에서 통계청은 상위 10%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2%라고 밝혔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연구 보고서는 45%로 파악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해 8월 청년 체감실업률을 34.2%로 분석하자 통계청은 8%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다수의 국민들은 통계청이 제시한 숫자보다 IMF와 민간연구기관 분석을 신뢰했다. 지난달 황수경 통계청장의 취임 일성은 “소득양극화 정책 등에 필요한 통계생산을 강화하겠다”였다. 앞으로는 국민에게 지키지 못할 약속은 하지 않길 바란다.
세종=이성규 경제부 기자
zhibago@kmib.co.kr
[현장기자-이성규] 통계 취사선택, 왜곡하는 통계청
입력 2017-08-26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