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이 그러더군요. 한국에 가서 대통령 탄핵시키는 방법을 배워오라고.”
미국의 저술가 리베카 솔닛(56·사진)은 25일 서울 마포구 창비 사옥에서 열린 내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미소를 지었다. 그는 미국을 대표하는 페미니스트 지식인으로 통한다. 솔닛은 저작 ‘걷기의 인문학’(반비) ‘어둠 속의 희망’(창비) 재출간을 기념하고 신작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창비)를 소개하기 위해 전날 내한했다.
그는 “이들 책 3권은 모두 저항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좌절과 절망은 패배를 기정사실로 여길 때 생기는데, 여기엔 미래가 이미 정해져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면서 “하지만 미래는 불확실한 만큼 우린 언제나 희망을 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솔닛은 자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백악관을 지배하는 건 여성 혐오의 문화이자 백인 우월주의”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은 기이한 현상이었다”며 “지금의 이 현실이 부끄럽다”고 토로했다.
지난해 ‘국정농단 사건’에서 우리 국민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섰던 것에 각별한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한국은 촛불시위로 성공적인 정권교체를 이뤄냈는데, 미국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났으면 좋겠다”며 “한국인들이 비법을 전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간담회에서는 페미니즘의 미래를 낙관하는 목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 솔닛은 남성들이 여성을 무시하면서 무엇이든 가르치려고 드는 행태를 꼬집는 ‘맨스플레인(Mansplain)’이라는 여성주의 용어를 유행시킨 인물이다. 그는 “수천 년간 이어진 여성 차별의 문제를 불과 수십 년 사이에 해결할 수 없다는 걸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성을 향한 폭력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해나가야 한다. 확실한 건 여성들의 지위가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다”며 “결국엔 여성들의 투쟁이 승리할 것”이라고 했다.
간담회를 마친 솔닛은 이날 저녁 서울 광진구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독자들을 상대로 강연을 열었다. 4박5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 그는 28일 미국으로 돌아간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
“한국 대통령 탄핵 비법 전수해줬으면” 美 저술가 리베카 솔닛 내한 회견
입력 2017-08-28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