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북 위협 평화적 해결 협력” 문 대통령, 아베와 30분 통화

입력 2017-08-25 19:07 수정 2017-08-25 22:14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는 양 정상이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올바른 여건 조성에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통화하고 북한 핵·미사일 위협의 평화적 해결에 의견을 같이했다. 하지만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문제를 두고는 이견을 드러냈다.

양국 정상은 25일 오전 10시40분부터 30분간 통화하고 한반도 안보위기에 대한 대응방안을 협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박 대변인은 “양 정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한 한·미·일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국제사회와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여건 조성에도 힘을 합하기로 했다. 북한이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기간 도발을 자제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되 이후 태도 변화를 신중히 판단해 협의키로 한 것이다. 아베 총리는 지난 17일 문 대통령이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강제징용 얘기를 거론하며 “일본 국민 사이에 좀 걱정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문 대통령은 “이 문제가 한일기본조약과 한일회담에서 해결됐고 한국 정부도 보상한 바 있지만, 한국 대법원이 국가 간 문제가 아니라 피해자와 회사 사이에 남아 있는 개인적 청구권까지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다”고 설명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